티스토리 뷰

 

 

국내 시판중인 공유기 중에서 고속 고급에 속하는 아수스 공유기의 설정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1. 로그인
익스플로러(크롬)의 주소창에서 192.168.10.1 (기본값) 입력 후 엔터

 

사용자 이름은 admin , 기본 암호는 없습니다.
로그인 후 설정


2. 메인 페이지

 

1)무선
 (1) 와이파이 이름 (SSID) 설정
 (2) 와이파이 비번 설정
2)LAN 
 내부 네트워크 등 설정
3)WAN
 고정 / 유동 /PPOE  등 인터넷 연결 방식 설정

2. 설정
1) 무선 설정
아수수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와이파이 설정이 잘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특별히 설정 할것은 없지만 와이파이 이름(SSID)를 바꾸거나 비번을 변경 할 수있습니다.
※ 공유기를 초기화 해도 와이파이 이름과 비번은 공장 초기화 값으로 변경 됩니다.

 

[무선] -- [ 2.4GHz /  5GHz 선택] -- 네트워크 이름(SSID) 지정
적색 화살표를 누르면 2.4GHz 와 5GHz를 선택할 수있으며 각각 설정 합니다. 그리고  
비번도 각각 다르게 설정하 수있으나 아수스 공유기는 기본 비번이 설정되어 있어서 별도로 안해도 됩니다.

2)LAN 설정
랜은 기본적으로 192.168.10.1 을 사용하고 있어 국내 공유기들과 2중 공유기 연결을 해도 문제 되지 않습니다.
단 같은 아수스 공유기를 추가 연결 할경우에는 내부 네트워크를 변경해야 겠죠.

 

 

 

2중공유기 연결시 내부 네트워크의 충돌을 회피하고 한다면 세번 째 숫자를 변경하고 [적용]을 누르면 됩니다.
이 때 변경된 내부 네트워크는 유선, 무선(와이파이)에 모두 적용됩니다.

3)인터넷 설정
일반 가정에서 사용 할 경우 인터넷 설정에 대한 변경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학교, 기숙사 등과 같이 고정IP를 할당하는 곳에서는 꼭 입력 시켜 주어야 합니다.

 

 

 

기본은 [동적IP] 입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것처럼 고정IP인 경우 적색 화살표의 탭을 눌러 [동적 / 정적 / PPOE]
 중에서 선택합니다.
위 그림은 정적을 눌러 준 것으로 하단에,
IP 주소 : xxx.xxx.xxx.xxx
서브넷마스크 : xxx.xxx.xxx.xxx 
기본게이트웨이 :  xxx.xxx.xxx.xxx
DNS1,2 :  xxx.xxx.xxx.xxx 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