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9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와 2000년대 지어진 아파트 그리고 2010년대이 아파트의 통신은 상당히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처음엔,


 

<사진-1>


이렇게 4핀 전화 콘센트가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사진-2>


이렇게 전화와 인터넷을 결합 한 형태로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더니 최근엔,


 

<사진-3>


방 하나에 2~3개의 네트워크 포트를 설치 합니다.

전화/ 컴퓨터 접속에 있어 입맛대로 골라 쓸 수 있는 선택의 자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2010년 이후의 아파트는 인터넷을 증설 하는데 그리고 다른 방으로 이전 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지만 2000년대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에서 어려움이 나타 납니다.


2000년대 이전의 아파트의 세대별 통신단자함은 이렇습니다.


 

<사진-4>


일반인은 아무리 고개를 갸우뚱 하도 이해하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게 뭐야?

어떻게 연결 했다는 거야?


그러나 막상알고 보면 아주 쉬워요.


 

<사진-5>


맨 좌측의 선로 3개는 아파트 관리소의 통신실까지 연결된 것으로 국선(局線)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측의 선로 6개는 아파트의 각 방(거실)에 연결된 것으로 내선(內線)이라고 합니다.


그럼 위 사진의 경우 어떻게 연결 된 걸까요?

일단 이렇게 정의 할게요(실제 다를 수 있습니다)

4 : 내선-1 침실1

5 : 내선-2 침실2

6 : 내선-3 침실3

7 : 내선-4 거실1

8 : 내선-5 거실2

9번은 배선하지 않았네요.

즉 각 침실에는 UPT 케이블 1개 거실에는 2개를 설치 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들어가 이 선이 어떻게 연결 된 걸까요?


 


<사진-6>


경로를 설명 하자면 이렇습니다.


국선(1)의 황색-녹색 의 인터넷 선(공인IP입니다)은 내선4(거실2)의 황색-녹색으로 연결 됩니다.

그럼 거실에 있는 랜포트에서 공유기의 인터넷 입력 포트로 연결 됩니다.

다음 공유기의 LAN포트(컴퓨터 연결)에 연결된 선로는 거실 랜포트의 청색-갈색 선을 이용하여 통신 배선함으로 연결 됩니다.

그리고 내선(3)의 침실3으로 연결 됩니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거실에 연결 된 선로로써,

다음과 같이 됩니다.


<사진-7>


오래된 아파트에서 다른 방에 인턴넷을 연결하는 방법은 이렇게 하는 것입니다.

만약 침실 3에 연결된 인터넷을 침실1 이나 침실2로 옮기고 싶으면?


사진6에서 내선 3에 연결된 전산을 1(침실1) 이나 2(침실2)로 변경 시켜주면 됩니다.


 주의 : 전선은 같은 색상끼리 순서가 바뀌면 안됩니다. '절대'

참고로 랜선 만드는법에 관하여 알고 싶으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