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터넷이 안됩니다.

어디가 고장 일까요?

이렇게 뜽금없이 물으면......내가 어떻게 압니까.

그 때마다 난 이렇게 말 하곤 합니다.

먼저 ping 테스트 부터 하십시오.

Ping 테스트는 네트워크 장애를 점검하는 가장 기본이 됩니다......라고 말 합니다.

 

​<그림-1 네트워크 진단>


그럼 Ping 는 어떻게 작동 하길래?

메아리와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최초 발생한 데이터그램 패킷이 특정한 목적지로 보내기 위해선 여러 경로를 거쳐 도달하게 되면 이 결과를 발신지에 알려주는 것을 이용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Ping)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한 호스트가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데 쓰이는 컴퓨터 네트워크 도구입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 하나요?


1.내 컴퓨터의 랜카드를 점검(ping 127.0.0.1)

 

Microsoft Windows [Version 10.0.14393]
(c) 2016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Users\Administrator>ping 127.0.0.1

Ping 127.0.0.1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127.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127.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127.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127.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128

127.0.0.1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왕복 시간(밀리초):
    최소 = 0ms, 최대 = 0ms, 평균 = 0ms

C:\Users\Administrator>



결과 :  양호

​★ 랜카드 불량이면 당연히 값이 나오지 않습니다. 


2.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를 점검(ipconfig, ipconfig /all)

가) 먼저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환경 확인


C:\Users\Administrator>ipconfig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448c:cb6c:ebab:7521%7
   IPv4 주소 . . . . . . . . . : 192.168.100.3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192.168.100.1


 

결과 : 192.168.100.1

랜케이블이 불량이거나 공유기가 꺼져 있으면 게이트웨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나)게이트웨이에 Ping 테스트(ping ipconfig에서 나타난 게이트웨이)


 

C:\Users\Administrator>ping 192.168.100.1

Ping 192.168.100.1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192.168.1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64
192.168.1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4
192.168.1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64
192.168.100.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64

192.168.100.1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왕복 시간(밀리초):
    최소 = 1ms, 최대 = 2ms, 평균 = 1ms

C:\Users\Administrator>



결과 :  양호 

게이트웨이로 ping 가 나가지 않으면 공유기 불량 또는 장애로 판단


3. 인터넷에 직접 ping를 날려 봅니다.(ping 공인ip)

  가.공유기가 있을 때는 공인 IP에 ping를 보내 봅니다

공인IP를 알아 내려면, 공유기의 설정페이지(공유기마다 다릅니다.)에 접속하여 시스템 정보를 보면 나옵니다.

 


<그림-2  공유기에 접속된 공인IP 알아내기>


외부 IP 주소가 현재 공유기에 연결된 통신사의 IP(218.156.127.**)입니다.


 

C:\Users\Administrator>ping 218.156.127.1**

Ping 218.156.127.159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218.156.127.159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63
218.156.127.159의 응답: 바이트=32 시간=3ms TTL=63
218.156.127.159의 응답: 바이트=32 시간=3ms TTL=63
218.156.127.159의 응답: 바이트=32 시간=3ms TTL=63

218.156.127.159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왕복 시간(밀리초):
    최소 = 2ms, 최대 = 3ms, 평균 = 2ms

C:\Users\Administrator>



결과 :  양호 

Ping 테스트가 안되면 통신사의 회선이나 장비의 불량


  나.위 공유기가 없을 때 그리고 위의 결과 양호 하다는 결과를 받았다면?

곧바로 DNS 에 ping을 알려 봅니다.


 

C:\Users\Administrator>ping 168.126.63.1

Ping 168.126.63.1 32바이트 데이터 사용:
168.126.63.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5ms TTL=56
168.126.63.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4ms TTL=56
168.126.63.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5ms TTL=56
168.126.63.1의 응답: 바이트=32 시간=4ms TTL=56

168.126.63.1에 대한 Ping 통계:
    패킷: 보냄 = 4, 받음 = 4, 손실 = 0 (0% 손실),
왕복 시간(밀리초):
    최소 = 4ms, 최대 = 5ms, 평균 = 4ms

C:\Users\Administrator> 



ㄱ)위와 같지 않으면 통신사에 AS 요청

ㄴ)위와 같아도 인터넷이 되지 않으면 컴퓨터 프로그램 장애




다음은 추가 정보 입니다.

pIng 테스트에서 나타나는 TTL은 무엇일까?

발신지에 목적지에 도착 하고 나면 소멸 되기위해 패킷의 소멸 시간을 정한 것으로 라우티를 거칠 때마다 하나씩 줄어 듭니다.

최초 공유기 게이트 웨이는 64, 공인IP까지는 63 그리고 계속 줄어 들었다가...DNS에 도달하면 56이 되었습니다.

물론 이 수치는 누구나 다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56이 뜻하는 것은

이 말은 내 컴퓨터에서 DNS까지 8번의 라우팅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결국 공유기도 라우팅의 역할을 함으로 공유기를 거칠 때마다 TTL의 수치는 줄어 듭니다.


 


예를 들어,

우리집 공유기 64 > 공인IP 63 > 아파트 통신실 62 > 지역 통신 집중 61 > 시.군 통신국 60 > 시.도 통신국 59 > 통신사 58 > .......DNS 54 > 다른 국가의 통신사 >............. 타국의 인터넷  사용자...이렇게 연견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