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가정에서 공유기를 한 대만 두고 있는 경우 또는 공유기 없이 사용하는 경우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인터넷 연결에 대한 글을 여러번 쓰지만 여전히 궁금증을 완전히 해결하기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누구나 잘 아시겠지만 인터넷은 어떤 시설물이나 장치가아닙니다. 각종 호스트(서버도 있고 개인용 컴푸터도 있고 나아가 핸드폰도 있습니다)들을 연결하는 회선과 장비 또는 호스트와 장비 들이 회선을 통해 자료(Data)를 주고 받는 과정을 인터넷이라고 합니다. 1.인터넷은 어떻게 접속하죠? 인터넷의 접속은 유선(有線) 무선(無線)으로 구분 합니다. 광케이블도 있지 않냐고 하시겠지만 광케이블도 광의(廣意)의 유선 입니다. 2.다음 접속하려면 유선(무선)만 있으면 되나요? 아닙니다. 인터넷의 기본은 주소(IP)입니다...
(공유기에 공유기를 종속 접속 할 경우 IP부여 방법) IP가 무엇인가 설명은 생략하고 공유기를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그러기 앞서 IP 주소의 운용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 볼게요. 다음의 그림은 전세계 국가에서 사용되는 IP를 할당(관리)하는 기구인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의 자료입니다. TCP/IP/V4에서는 약 42억(4,294,967,296)개의 인터넷 주소를 만들 수있습니다. 어떻게 해서 그렇게 나오냐고요? 255x255x255x255 입니다.(255는 8Bit 이고 IPV4는 32비트 체계입니다) 그 중에서 각 국가에 3,646,566,704개를 할당하였고 648,400,592개는 특수 목적을 위하여 할당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KT..
- Total
- Today
- Yesterday
- 와이파이 안됨
- 언론사별만평
- 원룸공유기설치
- 와이파이 확장
- 인터넷 연결 안됨
- 와이파이채널변경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시사만평
- 와이파이최적화
- 홈 랜 구성
- 신문사별 만평
- 2중공유기
- 모니터 연결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KT 기가 홈허브
- 홈 네트워크 구성
- 기숙사 인터넷
- 언로사별 만평
- 미투
- 원룸인터넷
- 신문사별만평
- 소호 네트워크
- 인터넷 연결 장애
- 와이파이 속도
- 언론사만평
- 2중공유기 연결
- 언론사별 만평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신문사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