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집은 아니지만 거실의 와이파이 감도(품질)가(이) 나쁘다고 말씀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거실 공유기의 LAN을 다른 방에 연결하고 공유기(또는 AP)를 연결하면 빵빵한 와이파이가 구성됩니다. [답변] 각 방마다 인터넷(유선)이 연결되었다면, 거실 공유기를 메인으로 삼고 추가 공유기(혹은 AP)를 설치하여 와이파이의 확장이 가능합니다. 와이파이를 만들기 위해 공유기를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흔히 익스텐드라고 불리는 AP를 설치해도 충분합니다. 참고로, 와이파이의 수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필요한(와이파이 감도가 극히 불량한 경우) 곳에만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또 와이파이 이름(SSID)은 다르게 해야 하며 와이파이의 간섭을 줄이려면 5Ghz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Ghz는..
누구나 생각하는 것 중의 하나 입니다. 방마다 이것이 하나씩 부착되어 있으니 방마다 인터넷이 되는게 아닐까? [사진-1 개정의 방(거실)의 벽면에 설치된 통신단자] 그러나 절대 아닙니다. 이 것은 단지 인터넷을 연결 해주는 통신선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부로가하고, 房(방)마다 인터넷이 접속되도록 하려면 무언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방마다 인터넷이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여러차례 포스팅하였으므로 이 시간에는 새삼 접속하는 기술이나 방법에 대하여 새삼 반복하기 보다는 기(旣) 연결된 벽면의 랜포트를 이용하여 쉽게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에 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1)기본형 인터넷을 공유기에 연결하는 것으로 특별한 설정 없이 즉시 사용 가능합니다. [사진-2 일반적인 가정의 홈-네트워크] 공유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언로사별 만평
- 기숙사 인터넷
- 홈 네트워크 구성
- 홈 랜 구성
- 신문사별 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2중공유기
- 미투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소호 네트워크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최적화
- 와이파이채널변경
- 와이파이 안됨
- 언론사만평
- 원룸인터넷
- 2중공유기 연결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신문사별만평
- 신문사만평
- 시사만평
- KT 기가 홈허브
- 언론사별 만평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와이파이 속도
- 원룸공유기설치
- 모니터 연결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인터넷 연결 장애
- 언론사별만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