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아이들은 초코파이는 먹지 않아도 와이파이는 먹어야 삽니다. 공부고 인터넷 강의로 받고 학교와의 모든 통신문은 카톡이나 밴드로 하더라고요. 세상이 좋아진 건지 나빠진 건지 모르나 그다지 반갑진 않은 듯합니다. 여하튼 갈수록 무선 인터넷의 중요성은 증대돼가는 것 같아요. 위 장비는 여러 용도로 사용됩니다. 1. 유선 인터넷을 무선 인터넷을 변경 2. 무선랜카드 3. 와이파이가 약한 곳에 와이파이 추가 4. 기타 와이파이 증폭(확장) 기능 - 이 기능은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1. 유선 인터넷을 무선(Wi-Fi)으로 변환 가장 기본적인 사용 방법이고 유선 공유기를 무선 공유기와 같이 만들어 줍니다. 장치를 벽면의 콘센트에 꽂은 후 공유기와 랜선으로 연결해주면 끝. 그런데 벽면의 랜-단자가 인터넷에 연결되..

가느다란 전선으로 이렇게 수많은 정보가 생각할 겨를도 없이 빠르게 전달될 것이라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요? 내가 처음 이더넷이란 말을 접했던 1990년대만 해도 굵은 '동축케이블'이었다. 무선설비를 전공했던 나에겐 동축 케이블이란 무선 전력의 송수신만 알고 있었으니 나 역시 '우물 안 개구리'였다. 그 후 불과 10년이 지나지 않아 이더넷의 대명사는 UTP로 바뀌었다. 동축케이블보다 가늘고 더 가벼우며 가공도 쉬웠지만 속도는 더 빨랐다. 동축 케이블의 최고 속도는 10 Mbps 였지만 UTP는 10 Mbps가 최저 속도였으며 이후 100 Mbps 그리고 1000 Mbps까지 나오더니 최근엔 10 Gbps도 선보인다. 그러나 우리가 추구하는 데이터의 전송속도는 장치의 차리 속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니 전달 ..

거실에 있던 컴퓨터를 방으로 옮겼습니다. 그리고 벽면에 있는 랜-단자와 컴퓨터를 연결했더니 '연결 안 됨'이라고 나타납니다. 이에 뭐야? 뭐가 문제인거야? 라며 인터넷을 뒤적거려서 '세대 통신 단자함'에서 옮겨주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뭐야? 여전히 안됩니다. 문제가 뭘까요? 염려 마십시오. 사진을 보니 귀 댁은 방마다 인터넷을 연결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8개의 랜-포트가 있는 부분은 100m급 스위치(허브)이고 이 장치를 통해 각 방의 벽면의 랜-포트에 연결됩니다. 문제는 이 장비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겠죠. 그래서 이렇게 합니다. 공유기의 LAN 포트 중 하나를 단자함의 스위치와 연결합니다. 랜선 1개가 있어야겠죠. 양쪽 화살표와 같이 연결하면 됩니다. 그리고 남은 파란색 케이..

요즘 아이들이 하는 말,'초코파이는 안 먹어도 와이파이는 먹어야 한다.'그런데 이 와이파이가 아이들 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절실합니다.어른들도 친구들과 카톡도 하고 이런저런 동영상도 돌려보고......뭐 이런거 있잔아요. 연식이 있는 아파트의 경우 통신 선로가 여유 있게 설치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텔레비젼 수신장치를 설치하고 나니 와이파이를 설치할 회선이 없을 수 있죠.그럼 어떻게 하죠? 질문 하신분의 방에 인터넷 원선이 입력되고 공유기를 거쳐 부모님 방에 텔레비전 셋탑박스를 설치한 경우입니다.그런데 부모님도 '와이파이를 잡수고 싶어 하십니다.'질문대로 구성 해 보았습니다. 그럼 어떻게 할까요?간단합니다.부보님 방에 공유기를 추가하면 됩니다.어떻게?이렇게요. 어렵지 않죠.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을 수 있..
인터넷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그 당시 컴퓨터는 지금처럼 흔하디흔한 물건으로 생각할 수 없는 시대였습니다. 제아무리 뛰어난 과학자 또는 인류학자라 하더라도 지금처럼 IT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을 못 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불과 30년 후를 예측하지 못하고 IPV4라는 규칙을 만들어 냅니다. 이 규칙으로 만들어지는 IP는 42억 대에 불과하고 통신사(ISP)는 IP 확보가 아주 중요한 일이 되고 맙니다. 통신사는 각 가정에 공급하는 IP를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1개만 공급됩니다. 통신사와 연결된 선(랜선)을 인터넷이라고 하겠습니다. 이 인터넷 선을 직접 컴퓨터에 연결하면 컴퓨터만 인터넷이 접속됩니다. 그래서 공유기를 사용하게 됩니다. 어떤 공유기든 WAN(인터넷 연결)과 LAN(컴퓨터 등)..
"오랜 된 아파트 전화선 교체 작업" "방마다 인터넷 연결 가능 한 방법이 있을까?" 2000년도 이전에 건축된 건물과 2000년도 이후에 건축된 건물의 통신 선로를 크게 달라지게 된다. 과거의 통신은 전화나 팩스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PSTN 전화 선로 면 충분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통신선로는 평행 2선 방식으로도 가능했다. 다시 말하면 전화선은 전선의 종류를 낯가리지 않았다. 일반 전기선이면 충분했고 군에서는 삐삐선(야전선)으로도 충분했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모든 통신은 패킷 교환 방식의 디지털 회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래서 일반화된 것이 UTP 케이블이다. 그러나 여전히 21세기 이전에 건축된 건물은 전화선으로 시공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럼 이 전화선을 인터넷 통신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
UTP 케이블이 모두 4P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시설에 따라 25P 또는 50P 등 수십 가닥의 케이블이 하나의 튜브로 감싸진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 25P 케이블의 순서는 어떻게 될까? 먼저 앞에 오는 색의 순서는 백-적-흑-황-보의 5가지 색상이다. 다음 뒤에 오는 색은 청-등-녹-갈-회-백의 5가지이다. 그래서 이 둘을 배열하며 이렇게 된다. 백 적 흑 황 보 청 1-백-청 6-적-청 11-흑-청 16-황-청 21-보-청 등 2-백-등 7-적-등 12-흑-등 17-황-등 22-보-등 녹 3-백-녹 8-적-녹 13-흑-녹 18-황-녹 23-보-녹 갈 4-백-갈 9-적-갈 14-흑-갈 19-황-갈 24-보-갈 회 5-백회 10-적-회 15-흑-회 20-황-회 25-보-회 RJ-45 패치 패널이나 ..
데스크톱 컴퓨터와 달리 노트북은 유선랜과 무선랜이 장착되어 있다. 이 두 가지 네트워크 어댑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가능하지만 우선순위는 "유선-랜"이다. 그래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노트북(컴퓨터)에 유선랜을 연결하면? 당연하지만 무선랜의 기능은 정지되고 유선으로 연결된다. 한마디로 한대의 컴퓨터가 두 개의 네트워크 어댑터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 연결은 안 된다. 또 유선과 무선의 두 가지 네트워크 어댑터가 있을 때 디폴트 네트워크 어댑터는 유선랜이 크다. [답변] 무선랜 표시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1. 무선랜카드가 없거나 고장 또는 드라이버 미설치이다. 2. 무선 기능을 꺼두었거나 비행기 기능을 켰다. ※ 일부 노트북 중에는 와이파이 ON/OFF 버튼이 있다. 3. 유선..
인터넷의 어원? 현대인의 특징을 열 글자 이내로 정의한다면? 어렵죠? 그러나 쉽게 생각해 보세요. "인터넷을 한다."입니다. "현대인=인터넷 하는 사람" 그러므로 인터넷을 하지 않은 사람은 현대인이 아니란 말이 됩니다. 돌아가신 우리 아버지 : 인터넷 안 하셨음. 돌아가신 우리 할머니 : 인터넷 안 하셨음. 또 돌아가신 장인어른과 장모님 : 인터넷 안 하셨음. 그러나, 팔순이 넘은 어머니 : 스마트폰 사용 : 현대인 세 살배기 유아 : 유튜브 : 현대인 이제 현대인과 그렇지 않은 구시대의 구분이 확실하죠. 그런데 말입니다. "인터넷이 뭐예요?"라고 물으면 아무도 말 못 합니다. "인터넷이 인터넷이지 뭐 딴 말이 있나요?"라고 하실 건가요? 그렇습니다. 인터넷이 인터넷입니다. 그런데 원래 이름은 "inte..
소규모 회사의 네트워크에서 자료 공유는 협업 능률에 관련된 중요한 문제입니다. 물론 이 공유가 보안에 취약하다는 것을 잘 알기에 저는 단 한 번도 공유 폴더에 대한 지식이나 의견을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어차피 보안상 문제는 각자 책임질 문제이니 네트워크(공유)에 관한 내용을 설명드리려 합니다. ' 주식회사 A는 초고속 인터넷 회선을 가입하여 30여 명의 사원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원들은 1,2층 두 개의 층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부서 간 협업을 증대 시키자는 이야기가 나왔고 이에 대한 방법으로 '자료 공유'가 중요하다는 신입 사원의 의견에 따라 대표 이사는 대학 전산과를 나온 홍길동 대리에게 해 보라고 지시했습니다. 대리 홍길동은 1층과 2층을 하나로 이어야 한다는 생각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건..
- Total
- Today
- Yesterday
- 와이파이 속도
- 홈 랜 구성
- 인터넷 연결 장애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KT 기가 홈허브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시사만평
- 홈 네트워크 구성
- 와이파이채널변경
- 미투
- 언론사별 만평
- 2중공유기 연결
- 소호 네트워크
- 와이파이최적화
- 신문사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언론사별만평
- 신문사별 만평
- 원룸공유기설치
- 모니터 연결
- 언로사별 만평
- 2중공유기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원룸인터넷
- 언론사만평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 안됨
- 신문사별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기숙사 인터넷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