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허브 연결" "GIGA Fiber 연결" "1577-0621 단말기 초과 제한" 딱 한 달 전입니다. 오랫동안 케이블 티브이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통신사를 변경했습니다. 케이블 티브이 인터넷은 값도 싸고 속도도 괜찮았습니다. 특별히 불만은 없습니다. 그런데 메이저 통신사가 자기네 핸드폰과 결합하면 인터넷이 공짜(?)라고 합니다. 그래서 핸드폰을 번호 이동하면서 결합하는 조건으로 KT로 인터넷을 바꿨습니다. 새로 바뀐 인터넷도 기존 케이블 방식과 다르지 않습니다. 바뀌었다면 기존에는 광- 컨버터(Fober to UTP)였는데 KT는 이 장치에 DHCP 서버가 내장된 것을 '홈-허브'라고 하네요. 어쨌거나 이 장비의 정확한 명칭은 'GIGA Fiber'입니다. 싱글모드 광케이블(가느다란 노란색 케이블)로..
어제까지 사용하던 인터넷이 갑자기 안되는 일이 생깁니다. 새로 이사하여 벽면의 랜포트와 컴퓨터를 연결만 하면 인터넷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연결하니 "인터넷 연결이 확실치 않다"거나 "인터넷 없음"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먼저 다음을 확인합니다. 공유기에는 "인터넷(WAN) 포트가 있습니다. 이 포트에 랜선이 꽂혀 있고 이 랜선이 벽면의 랜포트나 모뎀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연결 램프가 켜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ⅰ. "인터넷" 램프는 물론 LAN 램프도 켜져 있지 않았다. 이 공유기의 WAN 포트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았고 LAN 포트는 컴퓨터와 연결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원인] 1. 벽면의 랜포트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것이다. 2. 랜선이 불량이다. 3. 모..
도로 주변에 혹은 건물 옥상에 이동통신사 중계소(안테나)를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이동통신사의 중계소도 늘어 날 수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 도로 주변에는 거대한 철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그럼 여기(중계소 안테나)에서 발생한 전파는 얼마나 멀리까지 갈까? 크고 높으니까 멀리 아주 멀리(수 Km 정도?)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말 그럴까요? 그러나 정답은 "NO"입니다. 그렇게 먼 거리까지 전파를 보낼 필요도 없지만 거리가 멀어지면 휴대전화의 전파를 수신할 수 없게 됩니다. 또 통달거리가 길어지면 다른 중계소와 간섭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래서 이동통신의 통신 방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휴대전화의 통신 방식을 '셀룰러(Cellular)'라고 합니다. 셀 이란, ..
방마다 인터넷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문의하셨습니다. 다행히도 단자함에 공유기가 있고 공유기의 랜포트가 2개 남아 있어서 특별히 문제없이 할 수 있어 보입니다. 준비물은 1m 가량의 랜선만 하나 있으면 됩니다. 이 랜선을 1/2로 절단하여 한쪽은 공유기의 LAN 포트에 연결합니다. 그리고 절단된 부분을 단자에 연결합니다. 연결 순서는, [백.청] [청] [백.황] [황] [백.녹] [녹] [백.갈] [갈] 입니다. 위와 같이 8개의 전선을 모두 연결하면 기가 인터넷이 되는 것이고 [백.황] [황] [백.녹] [녹]의 4개만 연결하면 100메가 링크가 됩니다. [답변] 위 사진의 연결 상태를 정리합니다. 1. tel 은 전화가 연결된 것으로 여러 방에 브렌치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통신 ..
인터넷은 패킷교환 방식으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게이트웨이를 부가하면 유선전화(또는 팩스)를 사용할 수 있고 셋탑박스를 사용하면 티브이 시청이 됩니다. [답변] 연결 순서를 확인하세요. 연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벽면랜포트] ==> [공유기 WAN] . [공유기.LAN1~4] ==> [G501. 인터넷] , [셋탑박스], 컴퓨터" 입니다. 사진의 G501은 전화 게이트웨이입니다. 이 전화 게이트웨이는 인터넷(공인IP 또는 사설IP)에 연결하여 음성통화(팩스) 가능합니다. ①G501의 인터넷 포트는 공유기의 LAN에 연결한다. ② PC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③ TEL 포트와 전화기를 연결한다. LINE는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 ※ LINE의 용도는 다른 전화회선을 연결하여 인..
"연결중..... 이란 메시지만 뜨고 연결되지 않아요" 와이파이는 제한된 채널에 다수의 와이파이가 존재합니다. 그럼 뭘로 서로 다름을 구분할까요? 이름(SSID)입니다. 그래서 이름이 같다면? 핸드폰(노트북)과 공유기는 맨붕 상태에 이릅니다. "서로 나야 나!"를 외치게 될 테니까요. 그래서 다른 와이파이와 구분되도록 이름을 지어 주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공유기는 두말할 것도 없이 "ip time"입니다. 그리고 iptime의 와이파이 기본 이름(SSID)은 'ip time'입니다. 그래서 iptime 공유기를 구매 후 와이파이 이름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또 다른 iptime 와이파이와 구분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핸드폰은 같은 이름이 같지만 비번이 다를 수 있고 비번이..
"인터넷 연결 방법" "갑자기 와이파이가 안돼요" 갑자기 인터넷(와이파이) 가 안된다고 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선을 정리한다고 분리 시킨 후 연결이 잘못되었다." 가 전반적인 현상입니다. [ 답변] 사진에서 좌측의 검은색 장비는 KT의 Giga fiber로 홈-허브라는 제품과 동일하며 광모뎀이라고도 불리는 FTTH 방식의 기가 인터넷 장비로 광케이블로 통신사와 연결되어 있는데 질문의 사진에서 OPT가 켜져 있고 점멸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인터넷은 문제없고 연결이 바르게 되지 않은 것으로생각됩니다. 이 기가 파이버에는 4개의 LAN1~4(컴퓨터 1~4) 포트가 있는데 이중 하나를 공유기(IP TIME)의 노란색 포트에 연결하면 되고 다음 사진과 참고하십시오. LAN1~4는 L2 ..
하나의 공유기(와이파이)인데 핸드폰은 되고 노트북은 안된다? 이럴 수 있나요? 왜? 그야 " 조사해보면 다 나온다." 원인을 알아보자. [답변] 다음과 같이 해 봅니다 먼저 공유기의 [랜 포트]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 1) 된다 : 와이파이의 문제네요. 와이파이의 이름(SSID)가 최초 구입 시 그대로 사용 한 경우 다른 와이파이에 접속 한 경험이 있는 핸드폰(노트북)은 같은 이름이므로 저장된 비밀번호로 접속하여 하지만.... 안되는 것입니다. 주로 다음의 질문과 같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또 다른 이유로 이름 사이에 공백(예: my home)의 간격을 착각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하지 못한 경우와 "하이픈( - )을 공백 처리하는 경우입니다. 이름 서이에 공백은 비워두거나 하이픈을 넣지..
긴 장문의 메일을 받았습니다. 요건은 이렇습니다. 와이파이가 끊기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고 합니다. 비번도 바꿔보고 초기화도 해 보았지만 해결되지 않을 뿐 아니라 비번을 변경했으니 어느 순간 비번이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터넷 장애 신고를 했으나 인터넷 기사는 아무런 문제도 없다며 공유기 문제 같으니 공유기 메이커에 문의하라고 했다고 합니다. 공유기 업체에 전화했으나 자기네 제품이 그럴 리 없다. 설정된 비번은 초기화하지 않고는 설정이 지워지지 않는다고만 했다는 것입니니다. 이쯤이면 미치고 환장할 노릇입니다. 질문 받은 메일 전체를 올립니다. [질문 메일] 위의 링크에서 말씀하신 현상을 똑같이 겪었습니다. 공유기를 통해 휴대폰 와이파이와 컴퓨터 인터넷을 쓰는데 몇 달 전에 두 차례, 각각..
통신사에 따라 공유기와 셋탑박스를 연결하는 방법이 차이가 있습니다. KT는 인터넷 - 셋탑박스- 공유기, 또는 홈 허브- 셋탑박스 와 같이 연결하지만 SK와 LG는 [인터넷]- [공유기]- [셋탑박스] 와 같이 연결합니다. 그래서 SK와 LG는 먼저 인터넷이 공유기의 인터넷(WAN)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연결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공유기의 뒷면이 보이지 않지만 공유기(좌)의 인터넷(WAN) 포트에 맨 좌측의 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합니다. 위 사진의 발간색 원으로 표시된 케이블이 인터넷 케이블로 생각됩니다. 또는 가운데 케이블이 인터넷 선일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연결합니다. 어렵지 않죠?
- Total
- Today
- Yesterday
- 언론사별만평
- 신문사별 만평
- 홈 네트워크 구성
- 와이파이 안됨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KT 기가 홈허브
- 소호 네트워크
- 2중공유기
- 와이파이채널변경
- 홈 랜 구성
- 인터넷 연결 안됨
- 신문사별만평
- 언론사만평
- 와이파이 속도
- 언론사별 만평
- 시사만평
- 와이파이 확장
- 신문사만평
- 기숙사 인터넷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모니터 연결
- 와이파이최적화
- 원룸공유기설치
- 인터넷 연결 장애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원룸인터넷
- 미투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2중공유기 연결
- 언로사별 만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