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선이라고 불리는 랜(LAN) 선은 사용 가능한 최고 속도가 있으며 이 속도는 사용거리 100m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 유선 네트워크의 거리를 100m로 잡고 1) 100mbps를 전송하던 CAT5 규칙과 2) 1000mbps를 전송 가능한 CAT5e 또는 CAT6 규칙이 있습니다. 또 케이블에는, UTP와 달리 차폐선이라고 불리는 FTP, STP는 차폐 정도에 따라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UTP/STP/FTP는 속도만의 문제가 아닌 전송거리와도 관계됩니다. 그러므로 CAT 규격은 랜선의 규칙을 규정한 것이 아니고 랜선이 CAT 규격에서 정하는 통신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답변] CAT의 규격이 있지만 일반 거정에서의 인터넷 통신을 위해 CAT6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해야 할 ..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여러 대의 컴퓨터(스마트폰, 티브이)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너무도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하나의 컴퓨터가 지속적으로 회선을 점유하면 다른 컴퓨터는 느려지기 마련입니다. [답변] 방법은 문제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은 것뿐입니다. 그리고 문제의 원인이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바이러스 등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P2P를 의심하십시오 P2P는 특정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끼리 파일을 공유합니다. 10사람의 접속자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그중 한 사람이(컴퓨터) AA라는 파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9명의 접속자는 AA를 갖고 있는 사람(컴퓨터)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할 수 있게 되는 거죠. 그래서 컴퓨터에 파일이 있는 한 누군가는 검색하고 다운로드하는 ..
인터넷으로 연결된 장치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상호 자료의 공유를 하고 싶습니다. 자료의 공유를 하려면 단일한 네트워크가 되어야 하며 하나의 공유기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답변] 사진의 파란색과 회색선이 하나의 공유기에 연결하면 됩니다. 통신 단자함에 유선 공유기를 설치하고 인터넷 원선을 공유기의 WAN에 연결하고 랜포트에 파란색 케이블을 연결하면 집안 전체에 인터넷이 연결되는데, 사진의 ' DATA1~12'를 유선 공유기의 LAN 포트에 연결하면 됩니다. 각방(거실)은 벽면의 통신 단자에 컴퓨터 혹은 셋탑박스를 연결하면 됩니다. 참고로 유선 공유기는 ' WAN/LAN 속도가 1,000mbps ' 급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공유기는 4개 또는 8개의 LAN 포트가 있으니 필요한 만큼 연..
인터넷을 방마다 또는 다른 방에 추가 연결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조금만 이해를 넓히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최근에 건축된 초고속정보통신 아파트는 각 방마다 인터넷 또는 전화 회선이 2가닥 이상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통신 설비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하여 운용 가능합니다. [답변] 일단 인터넷 기사가 임의대로 공사를 했습니다. 먼저 사진을 설명합니다. 파란색 선과 회색선 중 [거실1] [침실1] 등과 같이 이름이 붙어있는 선들은 모두 내선 이라고 합니다. 그렇지 않은 선은 국선(아파트 통신실과 연결 됨)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위 사진에서 이름이 붙어있는 것은 인터넷 원선이고 아래의 [거실 1]이라고 이름이 붙어 있는 선은 내선입니다. 사진에서는 인터넷 기사가 자기 편할 대로 두 선을 연결..
공유기 교체하면 인터넷이 빨라질까? 누구나 공감하는 인터넷의 불만은 갑자기 랙 걸리고, 결정적인 순간에 튕겨 나가거나 상대의 공격을 피한다고 하지만 몸이 천근만근 상대의 칼을 맞아 죽고 맙니다. 이래저래 인터넷 속도에 대한 불만이 많습니다. 그럼 공유기를 바꾸면 인터넷이 빨라질까요? 인터넷의 속도를 올리고 싶은데 공유기를 바꾸면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답변] 그럴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의 속도는 장비(장치)의 성능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고성능 스포츠카가 제 속도를 내려면 당연히 차의 성능이 좋아야 합니다. 마력과 토크 그리고 운전 실력, 거기에 도로가 좋아야 합니다. 인터넷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자신이 가입하여 사용 중인 인터넷의 품질이 개선되지 않은 채 공유..
이더넷 통신의 구성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동축케이블(텔레비전 안테나 선)을 이용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UTP가 그 자리를 메꿔 가고 있으며 현재는 거의 대부분 UTP 방식입니다. 그리고 거리가 멀어지면 광케이블(FTTH)을 사용합니다. 모뎀의 불은 모두 정상으로 켜져 있습니다. [답변] 모뎀의 동작 상태는 정상입니다. 그러나 일단 모뎀의 전원을 껐다가 켜 보세요. 그래도 안되면 통신사에 AS 요청하세요. 추가 설명드리면, 인터넷의 연결은, 광케이블의 안정성과 속도 면에서 단연코 최고입니다. 그다음으로 UTP도 100m 이내의 거리에서 기가 속도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동축케이블 방식은 속도 및 안정성에서 가장 낮습니다. 심지어 ADSL 모뎀 수준도 안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KT와 ..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있습니다. 회선교환 방식 과 패킷교환빙식입니다. 전화 및 픽시밀리는 전통적인 회선 교한 방식입니다. 회선교환 방식은 특정 단말기가 통신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통신로를 점유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하여 패킷 통화 방식은 다수의 단말기가 통신로를 공유하고 데이터를 잘게 나누어(패킷) 전송하는데 통신로를 시간(TDM) 또는 주파수(FDM)을 나누어 공유합니다. 위 사진은 패킷 교환 방식으로 다수의 단말에서 발생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통신로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시간(주파수)에 따라 다른 단말의 데이터(패킷)이 전달되는 것입니다. [답변] LAN 상에서 데이터 전달의 원리는 이렇습니다. 1.원본의 데이터를 잘게 나눈다.(보통 1KB 단위) 2.이 원본의 데이터에 해더(수신..
청와대와 평양에 직통 전화가 설치되었고 언제든지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과 평양에 설치된 남북 정상 간의 핫-라인 잔화를 통해 2018년 4월 20일 오후 3시 41분부터 4분 19초간 이뤄졌다'라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전화에는 당연하지만 비화기가 설치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여기서 '핫라인 전화 와 비화기 설치'란 말을 귀담아들어야 한다. 핫라인(직통) 전화란? 일반적인 전화는 교환기를 거쳐야 한다. 전화기와 전화기를 선으로 잇는다 해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 →{[전화번호 입력 회 발생] → [상대 통화 경로와 채널 탐색 가능 여부 판단] → [상대 전화에 호 전달]} →[전화기] 이 ..
There are people who design a home network to envision various services. Some people try to play videos on a television or PC after they have saved their videos on NAS. Most importantly, NAS, television, computers, smart phones, and tablets all need to be made into one network. The above figure shows that many IT products in the home are included in one network (192.168.0.1). They can be shared ..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구상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중 하나가 NAS에 동영상을 저장한 뒤 텔레비전이나 PC에서 재생하려는 분이 계십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NAS,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이 모두 하나의 네트워크에 속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가정 내 다수의 IT 제품들이 하나의 네트워크(192.168.0.1)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 IT 제품들은 서로 공유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NAS를 설치하거나 공유기의 NAS 기능을 활용하려면 무조건 단일(單一) 한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합니다. 이같이 홈 허브의 LAN 포트를 각 방에 연결하면 공유는 불가능합니다. [답변] KT 홈-허브(Giga Fiber, Giga..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터넷 연결 안됨
- 신문사만평
- 언론사별만평
- 2중공유기
- 원룸인터넷
- 시사만평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 안됨
- 언론사별 만평
- 언론사만평
- 와이파이 속도
- 기숙사 인터넷
- 신문사별만평
- 신문사별 만평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미투
- 와이파이최적화
- 인터넷 연결 장애
- 홈 네트워크 구성
- 원룸공유기설치
- 소호 네트워크
- KT 기가 홈허브
- 2중공유기 연결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와이파이채널변경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홈 랜 구성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모니터 연결
- 언로사별 만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