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모니터에서 운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한대의 컴퓨터에 2대의 모니터를 연결하여 편리하게 일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노트북(컴퓨터)의 주화면에 보조 화면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 영역을 추가됨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 노트북을 듀얼 모니터로 운용 중] [운용 현황] 노트북 : 윈도 10/ RAM 8GB / 64bit 모니터 : HDMI 입력 포트가 있는 Digital 액자(저렴해서 선택한 것으로 제품 정보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내장된 스피커로 동영상 시청시 편리하네요) [순서] 1. 확장 모니터를 HDMI로 연결하여 노트북(컴퓨터)에 연결한다. 2. 컴퓨터에서 다중 모니터 기능을 선택한다. 3. 설정 순서 3-1. 바탕화면에서 우측 버..
HDD를 SSD로 바꾸면서 사용하지 않은 HDD가 있습니다. 이 디스크를 활용하여 데이터 백업용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음 순서대로 하시면 됩니다. [준비물] HDD, SATA-DATA 케이블 SATA-DATA 케이블은 양쪽이 똑같은 형태입니다. 다음 HDD/SSD HDD/SSD는 위 사진과 같이 두 개의 단자가 있으며 좌측이 DATA, 우측이 POWER입니다. [순서] 1. 컴퓨터의 전원을 끈다(전원 코드를 뽑는 게 가장 좋습니다) 2. 컴퓨터의 뚜껑을 엽니다. 위 1,2는 각자 다를 수 있으니 사진 설명을 생략합니다. 3. 메인 보드에서 남아 있는 SATA-DATA와 POWER 포트를 찾습니다. 4. SATA 케이블을 이 비어 있는 포트와 연결합니다. 5. HDD(SSD)에 ..
HDD를 SSD로 바꾸면서 사용하지 않은 HDD가 있습니다. 이 디스크를 활용하여 데이터 백업용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음 순서대로 하시면 됩니다. [준비물] HDD, SATA-DATA 케이블 SATA-DATA 케이블은 양쪽이 똑같은 형태입니다. 다음 HDD/SSD HDD/SSD는 위 사진과 같이 두 개의 단자가 있으며 좌측이 DATA, 우측이 POWER입니다. [순서] 1. 컴퓨터의 전원을 끈다(전원 코드를 뽑는 게 가장 좋습니다) 2. 컴퓨터의 뚜껑을 엽니다. 위 1,2는 각자 다를 수 있으니 사진 설명을 생략합니다. 3. 메인 보드에서 남아 있는 SATA-DATA와 POWER 포트를 찾습니다. 4. SATA 케이블을 이 비어 있는 포트와 연결합니다. 5. HDD(SSD)에 ..
컴퓨터의 중앙청리 장치(CPU)는 열이 발생합니다. Atom CPU 등은 발열이 적어 별도의 방열장치( 냉각 팬)이 필요 없지만 모든 컴퓨터는 쿨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다만 데스크톱 PC는 크고 노트북은 작은 쿨러가 부착되어 있을 뿐입니다. [답변] 먼저 노트북의 쿨러의 고장인지는 확인하십시오 노트북의 내부에는 열을 방출 시키는 쿨러가 있는데 장시간 사용으로 베어링의 윤활유가 고착 또는 증발되어 회전력이 떨어 지거나 회전하지 않게 됩니다. 쿨러가 회전하지 않으면 CPU가 과열되어 켜졌다가 곧 꺼지게 됩니다. 쿨러의 동작 여부는 노트북의 측면의 방열 구애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가 또는 귀를 가까이하여 팬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위 사진은 쿨러를 분해 한 사진으로 적색 화살표에 윤활유가..
모든 게 디지털이죠 이제 CCTV도 디지털이고 네트워크로 구성합니다. 여기서 디지털이라는 의미는 영상 이미지가 연속적인 신호가 아니라 0과 1의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 그림은 디지털 CCTV의 구성동입니다. 일반적인 CCTV와 다른 점은 모든 연결이 UTP 케이블이라는 점과 POE 스위치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답변] 1. 컴퓨터에서 영상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2 가지입니다. 가) 카메라의 신호를 직접 받는다. 나) NVR에서 받는다. 결과는 동일하며 설정에서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하면 됩니다. 카메라는 각각 IP를 할당받아 서버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됩니다. 즉 NVR과 모니터링 컴퓨터는 카메라의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여 신호를 다운로드하는 형태로 운용됩니다. 2. 카메..
컴퓨터는 몇 개의 부품들과 소프트에어의 조합입니다. 그래서 윈도가 설치된 후에는 반드시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상당수의 장치는 윈도가 설치되면서 자동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 포함되지 않은 장치 들은 별도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출처 : 네이버] [답변] 컴퓨터에 운영프로그램(윈도)를 설치 한 후 드라이버의 설치는, 대체로 윈도가 설치되면서 자동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에 패키지에 포함되지 않은 드라이버는 수동으로 설치 할 수밖에 없습니다. 1. 메이커 컴퓨터 :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해당 규격의 드라이버를 윈도우 버전에 맞춰 다운로드해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조립 컴퓨터 : 메인보드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해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경..
컴퓨터는 외부와 통신을 합니다. 그 통신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USB : 키보드, 마우스, 외장 저장 장치, 프린터 등의 연결 2. LAN :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자료의 송신, 수신을 행합니다. 3. Wi-Fi : LAN을 무선화 한 것입니다. 4. BT(블루투스) : USB를 무선화 한 것입니다. 5. Serial : 주로 장치간의 통신방식이며 1:1 또는 1:n의 통신으로 일반인에게 익숙치 않다. 추가로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 관리자를 캡처해 보내 주었습니다. [답변] 블루투스 동글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질문하신 컴퓨터의 무선랜카드는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무선랜카드는 다음과 같이 블루투스 장치 목록이 나타나야 합니다. 그러므로 블루투..
컴퓨터(노트북)의 랜카드가 고장으로 USB랜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히 USB랜카드를 설치 하는 것만으로도 1.0gbps 인터넷을 연결 한다고 하니....땡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왜 안되죠? 컴퓨터(Win_7)에 USB 칩셋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랜카드 드리이버는 설치되었지만 정작 컴퓨터가 USB 3.0 칩셋을 동작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인텔에서 다운 받아 설치하면 됩니다. 또는 여기를 클릭해도 고속 다운로드가 됩니다.
컴퓨터를 새로 장만 했습니다. 최신형입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VGA(D-SUB) 포트가 없습니다. 또 컴퓨터만 바꾸었지 예산이 없어서 모니터를 바꾸진 못했습니다. 그런데 모니터는 HDMI가 없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답변] 방법이 없습니다. 모니터를 바꾸세요. 위와 같은 DVI를 DVI-D 라고 하며 아날로그(GAV) 의 출력이 없는 방식입니다. 그렇다고 컴퓨터의 그레픽 카드를 바꿀수도 없잔습니까? 그런데, 컴퓨터의 DVI가 좀 다른 모양이 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은 DVI-I 에서는 VGA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DVI에는 Digital 전용의 DVI-D 와 Digital+Analog 의 DVI-I 가 있는데 위 단자는 DVI-D로 연결해도 되고 VGA로도 연결이 가능합니다. 어떻게? [답변] 바로 다..
[그림-1 DP(display port) PC 관련 업체들이 HDMI에 대항하기 위해 만듦] DP에 알아보기 위해 HDMI를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시작은 PC 업체에서 시작 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물론 HDMI가 DVI의 규격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HDMI의 설립자들은 히타치, 파나소닉, 필립스, 실리콘 이미지, 소니, 톰슨 SA, 도시바였습니다. 여기에 인텔이 가세하여 디지털 콘텐츠 보호 기능인 LLC는 즉, "HDMI 용 HDCP"를 제공하여 활력을 찾게 됩니다. 또한 디렉 TV, 에코스타, 케이블 랩스와 더불어 폭스, 유니버설, 워너브라더스, 디즈니 등 영화 제작사들의 지원을 받아 음향, 영상의 전송 방식으로 ..
- Total
- Today
- Yesterday
- 언로사별 만평
- 와이파이 확장
- 언론사만평
- 신문사별만평
- 모니터 연결
- 시사만평
- 와이파이채널변경
- 와이파이최적화
- 원룸공유기설치
- 와이파이 안됨
- 인터넷 연결 장애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2중공유기 연결
- 신문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미투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2중공유기
- 원룸인터넷
- 기숙사 인터넷
- 홈 랜 구성
- 와이파이 속도
- 언론사별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신문사만평
- 언론사별 만평
- 소호 네트워크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KT 기가 홈허브
- 홈 네트워크 구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