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 중 하나는 랜선 혹은 랜 포트의 불량 또는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어서 연결(물리적(전기적))이 안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좀 쉽게 말하면 랜선이 끊겼거나 접촉 불량 혹은 공유기(모뎀 등)의 전원이 꺼져 있을 때입니다.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연결 램프가 켜집니다. 위 사진과 같이 두 개의 램프가 있습니다. ※ 간혹 하나의 램프만 켜지는 제품도 있습니다. 램프가 하나인 경우 두 기능을 합친 것입니다. 좌측은 Link 램프이고 우측은 Active 램프입니다. 좌측 램프는 계속 켜져 있고 우측 램프는 빠르게 점멸합니다. 좌측의 램프는 주황색 또는 녹색으로 켜지는데 색상은 연결 속도를 의미합니다. 1) 10/100 속도 : 녹색 -100 , 주황색 - 10 2) 10/100..
며 칠전 9살 막내가 나에게 넌센스 퀴즈를 내겠답니다. 아빠 내가 난센스 퀴즈 낼 테니 알아맞혀봐요. 파이는 파인데 못 먹는 파이는? .............이럴 때 골똘히 생각하는 척.... 그리고 어렵다는 표정을 지어줘야 합니다. 그래야 저 꼬마의 어깨가 으쓱하니까요? 모르겠는데... 뭐야? 내가 그럴 줄 알았어...'와이파이야!' 와이파이 아이들도 압니다. 그것 없으면... 요즘 아이들 허수아비가 되고 맙니다. 핸드폰을 핫 스팟으로 동작시키면 되지만 핸드폰의 배터리가 빨리 소모됩니다. 그리고 여러 대의 단말기를 동시 연결하고 싶기도 하고 그래서 요즘 에그에 대한 관심이 꽤 높습니다. 통신 3사는 모두 LTE 전파를 사용하여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KT는 옛날부터 에그입니다..
DNS가 필요한 이유는 수 억 개의 웹서버 IP를 외우고 다닐 수없기 때문입니다. Naver에 접속하기 위해 202.131.30.11 을 외우고 다닐 수는 없잖아요 또 Google에 접속하기 위해 173.194.126.240을 외우고, Daum에 접속하기 위해 211.233.28.112를 외우고 다녀야 한다면 얼마나 머리 아프겠어요? 그래서 친절한 컴퓨터 전문가들이 도메인이라는 것을 만들어요. www.naver.com 그리고 이 도메인에는 202.131.30.11 이라는 IP로 연결되었다고 지정해 줍니다. 어디에? 통신사의 서버 => DNS 예를 들어 KT 가입자가 www.google.com 이라고 주소창에 입력하면 168.126.63.1과 168.126.63.2 두 개의 DNS 서버는 '도메인을 173..
[KT 의 홈-허브]는 4개의 LAN 단자가 있지만 공유기는 아닙니다. 그래서 광케이블(노란색)로 연결된 인터넷으로 여러 개의 공인 IP를 출력합니다. [답변] 1. [KT 홈-허브]에 연결된 거실 1과 침실 1은 1000mbps로 연결되었습니다. 그리고 회색선은 홈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거실 2, 침실 2..)에서도 인터넷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홈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방은 100mbps로 만 연결됩니다. 홈랜 게이트웨이가 100mbps 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홈 허브에서 다수의 IP가 제공되긴 하지만 실제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컴퓨터는 2대로 제한합니다. 즉 아무리 방마다 인터넷이 연결되어도 연결 가능한 컴퓨터는 2대가 한도이며 컴퓨터가 늘어나면 추가 요금을 부담해..
'컴퓨터의 통신은 IP라는 주소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가끔 IP를 받지 못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는 IP가 중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같이 유효한 IP를 받지 못한 경우를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라고 합니다. [질문사진-1] [질문사진-2] [답변] 위 질문사진-2에는 TCP/IPV4 항목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TCP/IP/V4를 활성화 □에 체크를 하시기 바랍니다. [단축키] [창문키+X → W → 어댑터 옵션 변경 → 네트워크 선택 →우측 버튼.속성 → TCP/IP/V4 선택 □ 에 체크 → 확인]. TCP/IP/V4 의 목록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식별인된 네트워크에 대한 추가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2010년 이후 건축된 초고속 아파트는 광케이블을 기본 시공하여 각 세대에 기가급 인터넷을 직접 연결 가능합니다. 또 홈-랜(게이트웨이) 네트워크에 의해 방마다 인터넷 연결이 가능합니다. 1. 광케이블 : 아파트 통신실에서 각 세대에 시설되었으며 Giga 급의 통신 속도로 연결됩니다.2.KT Giga 홈-허브(광모뎀): 광케이블을 LAN선(UTP)로 변환하는 Media Converter입니다. 이 장치에는 4개의 포트가 있으며 각각의 포트에서는 공인 IP가 출력됩니다.(※ 그래서 공유기가 아닙니다.)3. 홈-네트워크 스위치 : 인터넷과 댁내 홈-오토를 연결하는 장치로 보통 100mbps 지원합니다.4. 홈-오토(적색) : 댁내 각종 장치에 연결되어 원격제어 등에 사용됩니다.5. 전화(회색) : 각방(거..
거실에 인터넷이 연결되었다고 곧바로 인터넷이나 티브이 그리고 와이파이가 터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공유기를 설치해야죠. 앞 시간에는 통신 단자함에서 원하는 장소(방. 거실)에 인터넷을 연결하는 것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상세한 내용을 보실 수있습니다. 그리고 [거실-1]의 청색 단자(PC)에 인터넷이 연결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공유기의 연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 통신포트에 연결하고 반대편은 공유기의 WAN(인터넷)에 연결하면 됩니다. ※참고로 공유기를 선택할 때는 무조건 속도만 보지 말고 [ WAN / LAN ] 유선 속도를 확인하십시오. 인터넷 속도가 1.0Gbps인데 공유기의 [ WAN / LAN ] 속도가 기가가 아니면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공유기 선택..
이제 인터넷이 어떻게 어디로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알아봅니다.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다고 했습니다. 아무리 초고속의 인터넷 통신망을 갖춘 아파트라도 방(거실)에서 인터넷이 되게 하려면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이 시간에는 광케이블을 타고 온 인터넷이 어떻게 거실(방)으로 연결되는지 알아봅니다. 이같이 방마다 2(4) 씩 랜선이 설치되어 있어도 연결해주지 않으면 허당입니다. 그래서 이 중에서 [거실 1]에 인터넷을 연결하고 싶습니다. 그럼 이렇게 합니다. 광모뎀(미디어 컨버터의 LAN 포트에 연결하고 싶은 방(거실)의 선을 접속만 시켜주면 됩니다. 그럼 [ 거실-1 ] 의 청색(PC) 포트에 인터넷이 연결된 것입니다. 위 사진의 통신 단자는 각 방(거실)마다 두 개씩 있습니다. 그래서 광모뎀의 LAN에 연..
초고속 아파트의 통신 단자는 어떻게 연결되었을까? 그 두 째 시간으로 이 통신 단자에서 각 방으로 연결된 것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위 사진에서 파란색이 9개 회색 선이 12개입니다. 각각의 선에는 설지 장소를 뜻하는 방과 거실이 레이블링 되어 있습니다. 다음의 인터넷용 청색 케이블을 확대하여 보겠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각 방에 2개의 인터넷 회선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 침실 1, 침실 1-1 다음은 전화용 회색 케이블을 확대하여 보겠습니다. 전화용과 다르지 않습니다. 거실과 각 방에 2개씩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청색 선과 회색 선운 각 방에서는 어떻게 연결된 것일까요? 그런데 위의 청색은 9개인데 회색은 왜 12개일까요? .....그것은 ...말이죠. 3개..
이번 시간에는 2010년도 이후에 건축된 아파트의 인터넷 연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사진은 최근 5년 이내에 신축된 아파트의 통신 단자함입니다. 먼저 이 통신 함에 대하여 설명부터 하겠습니다. [ 1 ] 광케이블 단자입니다. 정식 명칭은 FDF(Fiber Distribution Frame)이며 보통 4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가정에 연결하는 인터넷은 광케이블이 2개가 아닌 1개로 송(수) 신을 겸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노란색 싱글모드 광케이블입니다. [ 2 ] 광모뎀이라고도 하며 정식 명칭은 미디어 컨버터 - Media Converter)입니다. 통신사와는 광케이블로 연결되고 가입자에게 UTP 케이블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Fiber to UTP 의 구성이란 뜻으로 미디어 컨버터라..
- Total
- Today
- Yesterday
- 언론사별 만평
- 기숙사 인터넷
- 신문사별만평
- 언론사별만평
- KT 기가 홈허브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신문사별 만평
- 와이파이채널변경
- 인터넷 연결 장애
- 와이파이 확장
- 2중공유기 연결
- 원룸공유기설치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2중공유기
- 신문사만평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언로사별 만평
- 홈 네트워크 구성
- 홈 랜 구성
- 언론사만평
- 와이파이 속도
- 와이파이 안됨
- 와이파이최적화
- 원룸인터넷
- 인터넷 연결 안됨
- 소호 네트워크
- 시사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모니터 연결
- 미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