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DNS가 필요한 이유는 수 억 개의 웹서버 IP를 외우고 다닐 수없기 때문입니다.
Naver에 접속하기 위해 202.131.30.11 을 외우고 다닐 수는 없잖아요
또 Google에 접속하기 위해 173.194.126.240을 외우고, Daum에 접속하기 위해 211.233.28.112를 외우고 다녀야 한다면 얼마나 머리 아프겠어요?
그래서 친절한 컴퓨터 전문가들이 도메인이라는 것을 만들어요.
www.naver.com  그리고 이 도메인에는 202.131.30.11 이라는 IP로 연결되었다고 지정해 줍니다.
어디에?
통신사의 서버 => DNS 
예를 들어 KT 가입자가 www.google.com 이라고 주소창에 입력하면 168.126.63.1과 168.126.63.2 두 개의 DNS 서버는 '도메인을 173.194.126.240 의 IP 하고 해석하여 컴퓨터에게 알려줍
'니다. 그럼 컴퓨터는 이 주소로 접속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 IP를 직접 입력해도 네이버나 구글 등에 접속하지 못합니다.
만약 IP로 직접 접속 가능하게 한다면 네이버는 DDOS 공격으로 무너지고 말겠죠.
그래서 IP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구글 다음.... 다 그렇습니다.

[답변]
네트워크 환경에서 DNS를 자동으로 설정하십시오
그래도 특정 사이트는 접속이 되고 또 특정 사이트는 접속이 안된다면 통신사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통신사의 DNS에 새로운 사이트의 도메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오류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과 같이 DNS를 자동으로 설정해도 모든 사이트가 접속이 되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