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 중 하나는 랜선 혹은 랜 포트의 불량 또는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어서 연결(물리적(전기적))이 안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좀 쉽게 말하면 랜선이 끊겼거나 접촉 불량 혹은 공유기(모뎀 등)의 전원이 꺼져 있을 때입니다.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연결 램프가 켜집니다.

위 사진과 같이 두 개의 램프가 있습니다.
※ 간혹 하나의 램프만 켜지는 제품도 있습니다. 램프가 하나인 경우 두 기능을 합친 것입니다.
좌측은 Link 램프이고 우측은 Active 램프입니다.
좌측 램프는 계속 켜져 있고 우측 램프는 빠르게 점멸합니다.
좌측의 램프는 주황색 또는 녹색으로 켜지는데 색상은 연결 속도를 의미합니다.
1) 10/100 속도 : 녹색 -100 , 주황색 - 10
2) 10/100/1000  속도 : 녹색 - 1000 , 주황색 - 10/100

그래서 위 사진과 같이 연결 램프가 켜져 있지 않으면?
1) 랜선의 불량
2)랜포트의 접촉 불량
3) 장치(공유기, 모뎀 등)의 전원 꺼짐 등입니다.
1. 랜선 불량의 판단

랜선의 양측을 공유기 임의의 포트에 연결해 보세요.
그리고 연결 램프를 확인하세요.

위와 같이 하나의 랜선 양 끝을 공유기(스위치)의 두 개의 포트에 연결되면 양측 모두 램프가 켜집니다.
랜선이 단선이면?
당연히 램프는 둘 다 안 켜집니다.


랜선 불량 확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다음으로 모뎀 등 다른 장치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공유기(모뎀)의 전원이 꺼져 있어도 켜지지 않습니다.

 

전원이 켜져 있고 LAN 포트가 꺼져 있으면?
모뎀 뒷면의 LAN 포트와 컴퓨터(공유기)의 연결이 끊긴 것입니다.

랜선을 바르게 연결하십시오.
공유기도 마찬가지입니다.

LAN 포트와 컴퓨터가 바르게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 램프가 켜지지 않습니다.

컴퓨터 혹은 공유기가 광모뎀에 연결된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전원 램프가 켜져 있는지 그리고 LAN에 램프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세요.
전원이 꺼져 있거나 LAN 램프가 꺼져 있어도 연결 램프는 켜지지 않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