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초고속 특등급 아파트, 방마다, 인터넷, 와이파이,홈 랜, 홈 네트워크, 연결, 이전, 설치] 에 대한 모든 것 1- 기능 설명
부지런히 살자 2018. 3. 12. 21:34이번 시간에는 2010년도 이후에 건축된 아파트의 인터넷 연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사진은 최근 5년 이내에 신축된 아파트의 통신 단자함입니다.
먼저 이 통신 함에 대하여 설명부터 하겠습니다.
[ 1 ] 광케이블 단자입니다. 정식 명칭은 FDF(Fiber Distribution Frame)이며 보통 4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가정에 연결하는 인터넷은 광케이블이 2개가 아닌 1개로 송(수) 신을 겸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노란색 싱글모드 광케이블입니다.
[ 2 ] 광모뎀이라고도 하며 정식 명칭은 미디어 컨버터 - Media Converter)입니다. 통신사와는 광케이블로 연결되고 가입자에게 UTP 케이블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Fiber to UTP 의 구성이란 뜻으로 미디어 컨버터라고 합니다.
이 미디어 컨버터는 보통 2개의 LAN 포트가 있으며 두 개의 랜 포트에 각각 공인 IP가 제공되며 가입자 측에서는 WAN이 됩니다.
[ 3 ] 인터넷용 랜선입니다. 일 반적으로 CAT5e로 시설되어 있으며 기가인터넷이 가능합니다.
사진에서는 총 9개의 파란색이 있는데 집안에 7개의 랜포트가있다는 뜻이 됩니다.
[ 4 ] 전화용 랜선입니다. 인터넷과 마찬가지로 CAT5e로 시공되어 있으며 전화는 물론 기가 인터넷도 가능합니다.
특히 위 [ 3 ]의 인터넷 선로와 완전히 대치 가능하여 서로 바꿔 연결해도 관계 없습니다.
[ 5 ] 스위치(허브)입니다.
이 장치는 두 개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1) 홈-네트워크(홈 오토, 원격검침, 비디오폰, 단지 내 CCTV 등)을 연결해주는 적색 케이블이 연결됩니다.
2) 방마다 인터넷을 연결해주는 스위치(허브)로 파란색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 6 ] 홈-오토 케이블입니다.
이 케이블은 위 [ 5 ]에서 설명 한대로 홈-오토용 케이블이며 절대 만질 필요가 없습니다.
'통신.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tal
- Today
- Yesterday
- 신문사만평
- 2중공유기
- 언론사만평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언로사별 만평
- 원룸공유기설치
- 시사만평
- 홈 랜 구성
- 와이파이채널변경
- 와이파이최적화
- 기숙사 인터넷
- 와이파이 안됨
- 신문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모니터 연결
- 2중공유기 연결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KT 기가 홈허브
- 인터넷 연결 안됨
- 와이파이 속도
- 원룸인터넷
- 소호 네트워크
- 신문사별만평
- 미투
- 인터넷 연결 장애
- 홈 네트워크 구성
- 언론사별만평
- 언론사별 만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