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테나에서 방사된 전자파는 공중으로 무한히 진행합니다. 그리고 그 속도는 빛의 속도라고 합니다.(초당 30만 km) 그런데 이 전자파는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순간부터 감쇄하기 시작합니다. 즉 안테나에서 큰 전력을 흘려보내고 공기는 금속이 아니기 때문에 감쇄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공중파 방송국이나 우주 통신을 하는 기지국은 매우 큰 전력(수백 Kw 이상)을 안테나로 흘려보내지만 전파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면서 그 크기가 감쇄하게 됩니다. 그런데 가정에서 사용하는 공유기의 와이파이 출력은 불과 10mw에 불과하고 주파수도 매우 높아서 벽이나 장애물을 만나면 사정없이 감쇄하고 맙니다. 그럼 왜 이렇게 낮은 출력으로 만들까요? 그건 가까운 이웃에도 동일한 와이파이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전파가 불필요하게 원거..
"KT 기가 모뎀 연결 방법" KT의 인터넷 연결 방식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광케이블 2. UTP 그리고 둘 다 기가 인터넷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두 가지 연결 장치를 모뎀이라고도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KT에서 부르는 그대로 '홈 허브'가 맞습니다. 이 장치들은 4 또는 5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는데 UTP 홈 허브는 5개 광기가 홈 허브는 4개입니다. 광 기가 홈 허브는 FTTH라는 방식으로 연결될 뿐 UTP 기가 홈 허브와 동작은 동일합니다. 1.UTP 기가 홈 허브 위 장치는 '인터넷' 포트 1개와 4개의 LAN 포트로 구성되며 4개의 LAN 포트는 공인 IP가 출력 됩니다. 즉 홈 허브 내부에는 DHCP 서버가 내장되어 있어 각각의 LAN 포트에 공인 IP를 출력하여 인터넷과 IPTV를 연결..
인터넷 연결은 UTP 케이블 또는 광케이블로 연결합니다. 특히 고속의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이 안정적입니다. [답변] 사진의 장비부터 설명합니다. 위 쪽 장치는 광모뎀(광기가 홈 허브)입니다. 이 장치는 광케이블로 기가 인터넷을 연결하며 4개의 랜포트에서는 각각 공인 IP가 출력 됩니다. 아래쪽 장치는 유무선 공유기입니다. 이 공유기는 기가 홈 허브의 랜포트에 연결합니다. 광 모뎀(기가 홈-허브)의 인터넷 램프가 점멸하면 가입자가 할 일이 거의 없습니다. 통신사에 AS 요청하는 것이 쉽습니다. 그러나 사용자 부주의로 광케이블이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다음 사진과 같이 확인해 보고 안되면 고장 신고하십시오 위 사진에서 빨간색의 두 원 부분을 엄지와 검지로 잡고 잡아당겨 보세요. 쉽게 ..
인터넷 자체의 속도가 변동으로 인터넷이 느렸다 빨랐다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답변] 저가형 스위치(허브)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두 대의 컴퓨터가 아닌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된 사무실에서 저가형 스위치(허브)의 사용은 추천할 만한 일이 아닙니다. 예산이 허용한다면 기업용 스위치를 사용하실 것을 권합니다. 한 달 전, 서울의 모 소규모 기업에서 메일이 왔습니다. "이유 없이 인터넷이 느렸다 빨랐다 합니다 한번 점검해 주실 수 있을까요?" 6~7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사무실이었는데 아주 저가형의 스위치(허브)를 사용하고 있더군요. 그래도 규격은 giga를 지원하는 100/1000을 지원하는 제품이었습니다. 전에도 이 같은 유사한 증상..
"전산 장비에 예산을 아끼지 말라!" 인터넷 자체의 속도가 변동으로 인터넷이 느렸다 빨랐다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답변] 저가형 스위치(허브)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두 대의 컴퓨터가 아닌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된 사무실에서 저가형 스위치(허브)의 사용은 추천할 만한 일이 아닙니다. 예산이 허용한다면 기업용 스위치를 사용하실 것을 권합니다. 한 달 전, 서울의 모 소규모 기업에서 메일이 왔습니다. "이유 없이 인터넷이 느렸다 빨랐다 합니다 한번 점검해 주실 수 있을까요?" 6~7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사무실이었는데 아주 저가형의 스위치(허브)를 사용하고 있더군요. 그래도 규격은 giga를 지원하는 100/1000을 지원하는 제품이..
제품 광고를 보면 그럴 사 합니다. '무선 와이파이 확장기 또는 증폭기' 과연 그럴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 증폭기를 사용하느니 고급 공유기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이득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그림을 그려 보았습니다. 1) 좌측의 공유기에서 -50dB의 와이파이가 출력 됩니다. 2) 중심점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지고 우측 지점에서 -80dB까지 낮아졌습니다. 3) 확장기는 -80dB의 신호를 수신합니다. 4) 확장기의 출력은 -50dB가 됩니다. 그럼 인터넷 신호가 빨라 질까요? 적어도 와이파이에서는 불가능합니다. 증폭이 되려면 주파수(채널)이 달라져야 합니다. 즉 수신 채널(메인 공유기 채널)과 송신 채널(확장기 채널)이 별개 이어야 가능합니다. 그러나 확장기는 메인 공유기의 와이파이와 동일한..
와이파이가 여러 개면 인터넷 속도가 빨라 지나요? 천만의 말씀입니다. 오히려 와이파이의 간섭으로 느려질 뿐입니다. 차라리 고급 공유기 하나로 대체하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공유기 제조사의 광고에도 상당히 문제가 있습니다. 마치 공유기를 공유기를 사용하면 인터넷이 더 빨라지는 것처럼 광고하니까요. 그러나 공유기가 인터넷을 더 빠르게 하는 '부스터(Booster)'가 아닙니다. 그래서 기본 인터넷 회선보다 더 빨라질 수는 없습니다. [답변] 아닙니다. 느려질 수는 있어도 빨라지는 일은 없습니다. 그나마 성능이 좋은 공유기는 기본 인터넷 속도와 큰 차이 없습니다. 다시 말해 공유기를 사용함으로써 미미하지만 느려질 수는 있지만 빨라지는 일은 없습니다. 참고로 사진과 같이 연결하는(사진의 검은색 공..
"CCTV만 사용하면 인터넷이 느려져요" "CCTV를 연결하면 전화 음질이 끊겨요" 아니 인터넷 속도는 100mbps 또는 기가인터넷이라고 하는데 왜? 최근의 CCTV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풀 Full HD는 기본이고 4K를 지원하는 제품까지 속속 출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연속적인 영상신호를 디지털로 변화 시켜 전송 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모든 데이터는 네트워크상에서 잘게 쪼개진 뒤 송신하고 수신 후 이를 조립합니다. 그래서 210만 화소 카메라의 영상 신호는 초당 약 2.1Mbbps로 끊김 없이 송신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영상신호 중간에 다른 데이터가 끼어들게 되면 수신 측에서는 버퍼링을 하게 되고 화질에 모자이크가 생기게 됩니다. [답변] 3개의 고화질 카메라를 사용하면 약 6.6mbp..
과거에는 전화 와 인터넷이 별개였습니다. 그래서 전화를 사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전화국까지 전화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전화 선로를 시설하고 유지한다는 것이 통신사 입장에선 부담되었고 이를 인터넷이 통합 운용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의 장비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일반 유선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치입니다. [답변] SK의 G-501은 모뎀도 공유기도 아닙니다. 전화 통화 데이터를 인터넷에 합성시켜 전송 시켜주는 장치로 Gateway 라 합니다. 연결 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G501의 후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G501의 동작 램프를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룸 또는 기숙사에 통신포트가 1개 뿐이거나 고장으로 1개만 인터넷 접속이 될 때 어떻게 할까? 1개의 랜포트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고 싶은데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답변] 2개 중 하나가 안되면 기숙사(원룸) 관리자에게 문의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나 1개의 랜포트는 인터넷이 정상 연결되면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1. 스위치(허브)를 사용한다. 2. 공유기를 사용한다. 공유기를 사용하게 되면 와이파이도 사용할 수 있겠으나 기숙사(원룸) 인터넷의 내부 네트워크와 충돌하지 않게 설정해 주어야 합ㄴ다. 또 인터넷의 연결 방법에 따라 고정 IP 방식으로 바꾸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와이파이 속도
- 언론사만평
- 모니터 연결
- 와이파이채널변경
- 홈 랜 구성
- 홈 네트워크 구성
- 소호 네트워크
- 미투
- 원룸공유기설치
- 언론사별만평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언로사별 만평
- 와이파이 안됨
- 기숙사 인터넷
- 와이파이최적화
- 인터넷 연결 장애
- 인터넷 연결 안됨
- KT 기가 홈허브
- 신문사별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신문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2중공유기 연결
- 2중공유기
- 언론사별 만평
- 원룸인터넷
- 시사만평
- 신문사만평
- 와이파이 확장
- 내부 네트워크 변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