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터넷 연결은 UTP 케이블 또는 광케이블로 연결합니다. 특히 고속의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이 안정적입니다.
[답변]
사진의 장비부터 설명합니다.
위 쪽 장치는 광모뎀(광기가 홈 허브)입니다.
이 장치는 광케이블로 기가 인터넷을 연결하며 4개의 랜포트에서는 각각 공인 IP가 출력 됩니다.
아래쪽 장치는 유무선 공유기입니다.
이 공유기는 기가 홈 허브의 랜포트에 연결합니다.
광 모뎀(기가 홈-허브)의 인터넷 램프가 점멸하면 가입자가 할 일이 거의 없습니다. 통신사에 AS 요청하는 것이 쉽습니다.
그러나 사용자 부주의로 광케이블이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다음 사진과 같이 확인해 보고 안되면 고장 신고하십시오
위 사진에서 빨간색의 두 원 부분을 엄지와 검지로 잡고 잡아당겨 보세요.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정상입니다.
만약 분리되면 달깍 느낌이 들도록 밀어 넣어 주세요
그리고 인터넷 램프가 점멸하지 않으면 정상입니다.
계속하여 점멸하면 통신사에 고장 신고하십시오.
'통신.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파이 신호의 세기, 전자파의 세기, dbm에 대하여 (1) | 2018.06.28 |
---|---|
KT 광 기가 모뎀, UTP2 홈 허브, Giga 기가 와이파이 연결 방법 (3) | 2018.06.28 |
인터넷이 자주 끊겨요, 인터넷이 느렸다 빨랐다 합니다. (0) | 2018.06.27 |
인터넷이 자주 끊겨요, 인터넷이 느렸다 빨랐다 합니다. (0) | 2018.06.25 |
와이파이, Wi-Fi, 와파, 증폭기, 확장기, 중계기의 허와 실, 소비자 현혹 (0) | 2018.06.25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인터넷 연결 장애
- 신문사별 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와이파이 안됨
- 미투
- 2중공유기 연결
- 홈 네트워크 구성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신문사별만평
- 2중공유기
- KT 기가 홈허브
- 언론사별만평
- 언론사별 만평
- 언로사별 만평
- 기숙사 인터넷
- 홈 랜 구성
- 소호 네트워크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시사만평
- 와이파이 확장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모니터 연결
- 와이파이채널변경
- 원룸공유기설치
- 언론사만평
- 와이파이 속도
- 와이파이최적화
- 원룸인터넷
- 신문사만평
- 와이파이 연결 장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