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진-1 세대 통신 배선함......>
보통 가정에서 인터넷 사용하는 방법은 거실에 공유기를 둡니다.
그리고 무선랜을 많이 사용하고요.
그런데 무선랜이 편리하긴 하지만 안정성과 속도 면에서는 유선랜을 따라가기 불가능합니다.
물론 일부 통신사에서는 '기가산다'라면 기가 인터넷 기가와이파이를 강조하긴 하지만 여전히 유선랜의 영역은 무선랜에게 '넘사벽'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유선인터넷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를 고민 해 보겠습니다.
<사진-2 인터넷의 연결...>
위 사진을 보시면 알 수 있지만 좌측의 국선1에 연결된 인터넷 '등색'과 '녹색'은 우측의 내선1(거실)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럼 거실에 있는 벽면의 잭에 랜선을 연결하고 이를 공유기나 컴퓨터에 연결하게 됩니다.
<사진-3 벽이 랜잭과 공유기의 연결......>
국선에 연결된 인터넷은 등색,녹색 두쌍의 전선에 의하여 우측 내선1번에 연결되고 벽 잭에서 공유기 인터넷 포트에 접속합니다.
위 사진의 맨 좌측은 '현관 통신배선함'
중간의 잭은 거실(침실)의 벽에 부착된 통신 잭(월잭) 입니다.
그리고 우측의 장비는 공유기(IP TIMME 8포트)입니다.
또 중간의 적색은 댁내의 콘크리트 벽에 매입된 것이고 우측의 청색은 패치코드입니다.
지금까지 인터넷이 연결되는 과정을 살펴 보았습니다.
지금부터, 인터넷을 이전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인터넷 또한 앞서 설명 드렸던 전화선 옮기는 방법과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참고 전화선의 이전 또는 증설 하는 방법......<= 클릭 하세오.
다음은 거실의 인터넷을 침실(안방)으로 옮기는 방법입니다.
<사진-4 인터넷 회선 이전...>
위 사진-4를 사진-3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등색(오렌지색)과 녹색선이 밑으로 한 블럭 내려온 것을 알 수있습니다.
이렇게 필요한 단자에 접속 시키면 거실, 침실1,2,3 ......등 어디라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주의
케이블을 연결 할 때는 색상의 위치가 바뀌면 안됩니다.
<사진-5 케이블 연결......>
케이블은 절대 어긋나게 연결하면 안됩니다.
백.등 ---- 백.등
등 ---- 등
백.녹 ---- 백.녹
녹 ---- 녹
와 같이 연결해야 합니다.
쉽게 말하면 ' + , -' 극성과 같디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거실의 공유기에서 침실로 인터넷의 연결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시사만평
- 신문사별만평
- 신문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원룸공유기설치
- 2중공유기 연결
- KT 기가 홈허브
- 2중공유기
- 기숙사 인터넷
- 와이파이 안됨
- 원룸인터넷
- 와이파이최적화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와이파이 속도
- 언론사별 만평
- 홈 네트워크 구성
- 신문사만평
- 와이파이 확장
- 소호 네트워크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와이파이채널변경
- 인터넷 연결 안됨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모니터 연결
- 언론사만평
- 인터넷 연결 장애
- 언론사별만평
- 미투
- 언로사별 만평
- 홈 랜 구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