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자주 접하는 질문중 하나가 컴퓨터를 추가하였는데 인터넷을 연결 할 수가 없어요.

2)거실의 컴퓨터를 방으로 옮기​려는데 인터넷을 어떻게 연결하죠?

3)거실에 있는 공유기의 인터넷을 방으로 연결하고 싶어요.

등등의 주로 인터넷을 각 방마다 연결하고싶다는 질문입니다.

물론 지금부터 ​설명드리는 것은 일부의 아파트에 한정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제 설명을 잘 읽어 보시고 이해 하셨다면 방마다 인터넷을 연결하거나 무선랜(와이파이 : WI-FI)의 감도 불량을 해소 할 수도 있습니다.

절대 손해 보는 일 없​으니 끝까지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요건을 말씀 드리기 전에 저희집의 평면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진-1 평면도...화살표는 통신단자(월잭)이 설치된 곳이며 전화,인터넷각 1회선입니다.>

각 방과 거실에는 인터넷 2회선과 전화2회선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주방에도 전화1회선 인터넷 1회선으로 집안 전체에 인터넷 9회선 전화 9회선이 시설되어 있습니다.

또 전화와 인터넷은 동일하게 UTP CAT_#5로 시설되어 있습니다.

한마디로 확장성이 매우 넓게 시설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지는 법'

아무리 좋은 네트워크 시설을 갖춘 아파트라 해도 연결 할 줄 모르면 허당입니다.

그래서 정말 수십번의 실험을 거쳐 자신있게 설명 드리는 '홈랜구성'입니다.

다음으로 현관에 있는 '통합 통신단자함'​입니다.


 

<사진-2 통합배선함 내부....꽤나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보면 쉽습니다.>


1.회색선 : 전화용 케이블 입니다. 아파트 통신실과 직결되어 있으며 세대에서 원하는 방으로 전화를 연결 해 줄 수 있습니다.

2.적색선 : 홈오토용으로 여기서는 논의 대상이 아닙니다. 비록 검은색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있지만 인터넷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3.청색선 :오늘의 주인공 인터넷 선로입니다. 홈네트워크 시스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된 순서나 위치는 관련 없습니다.

4. HOME NETWORK SYSTEM GATEWAY : 하나의 장비 이지만 실제 두개로 내부 구성은 두 개로 나뉘어 있습니다.

적색선의 홈오코메이션과 청색의 인터넷을 접속하기 위한 것입니다.

제가 수십번의 실험으로 알아낸 사실은 두개의 스위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HOME NETWORK SYSTEM GATEWAY '를 사용하여 집안 전체에 인터넷이 연결되고 무선인터넷 음영지역 해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목적은 거실에 설치된 유무선공유기에서 케이블 하나를 연결하여 배선함의 게이트위에 장비에 입력하여 각방으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사진-3 공유기 뒷면......>

좌측부터, 전원선, WAN(인터넷)이고 우측 4개는 거실에 있는 플레이스테이션과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백색의 케이블을 다음 사진과 같이 연결 하였습니다.

<사진-4 거실의 월잭......>

윗 부분의 백색선은 공유기의 LAN에 연결하여 배선함으로 이어집니다.

하단의 흑색은 배선함의 광컨버터로 연결되었습니다.

 

<사진-5 통신사의 광 컨버터>

광컨버터의 출력은 ​거실1 이라는 케이블을 통해 사진-4 의 아랫 부분에 있는 포트에 연결된 검은색 케이블로 공유기에 입력(WAN) 됩니다.

 

​<사진-6 전화용 케이블>

위 케이블은 전화용이며 각 방(거실)에 인터넷 선과 함께 짝을 이루며 연결되고 이중 거실로 가는 것을 찾아 게이트웨이에 연결 해주면 됩니다.

 

<사진-7 전화용 케이블(거실1) ......>

공유기에 연결된 LAN 포트중 백색선은 ​사진-4의 윗분으로 연결되고 이 잭은 위 사진 회색선(거실1)로 연결되었습니다.

이제 이 케이블을 게이트웨이에 연결만 하면 끝입니다.

 

<사진-8 게이트웨이에 인터넷(공유기의 LAN포트)을 연결......>

사진을 보면 적색 원안의 '인터넷'​ 이라는 램프가 꺼져 있습니다. 연결되면 램프가 텨집니다.

또, 인터넷 포트(DATA1~12)에 램프는 꺼져 있습니다. 아직 컴퓨터, 공유기 등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사진-9 인터넷을 연결 한 상태.....인터넷 램프가 켜짐>

 

<사진-10, DATA-7에 램프가 켜짐......>

DATA7은 침실1에 연결된 것으로 침실 1에 초소형 무선공유기를 연결하였기 때문입니다.

 

<사진-11 침실1에 설치된 초소형 무선공유기....>

이상과 같이 연결하여 각 방마다 초고속 인터넷이 연결 되었고 더불어 침실1에는 소형 무선공유기가 설치되어 무선감도를 개선하였습니다.

그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해 보겠습니다.

 

<사진-12 소형 무선공유기의 링크......>

 

<사진-13 네트워크 현황 입니다.>

192.168.0.3 이라는 IP를 받았네요.

인터넷이 잘 됩니다.

다음은 거실에 설치된 유무선공유기를 선택하여 연결하겠습니다.

<사진-14 거실의 공유기 선택...>

IP가 변동 되었습니다. 192.168.1.215...공유기가 다르니까 IP도 변경되었습니다.

물론 스마트폰, 노트북,테블릿PC등 3대 이상 동시 접속하여 테스트를실행 했으며 모든 결과는 만족스럽게 나왔습니다.

<사진-15 여러대의 단말기를 동시에 접속 시켜 봄>

물론 잘 됩니다.

지금까지 홈네트워킹시스템 'BEST IN'을 사용한 방마다 인터넷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참고로 : BEST IN의 인터넷 입력에는 공유기의 출력(LAN)을 연결하여야 합니다.

공인 IP를 연결하면 하나의 IP만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방에서 연결은 되지만 인터넷은 그 중 선착순으로 먼저 접속한 하나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