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UTP 케이블, 유티피 케이블, CAT5 UTP, CAT 5e UTP, CAT6 UTP, 랜선의 종류, LAN선의 종류]에 대한 이해와 모든 것
부지런히 살자 2017. 5. 29. 11:38
(사진-1 여러가지 UTP 케이블)
위로부터 CAT_5 50pair UTP 케이블, CAT-5e 4pair 케이블, CAT_6 4pair 케이블입니다.
(사진-2 CAT_5e LAN 케이블)
컴퓨터를 인터넷에 혹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전선,
우리는 이 케이블을 랜-선(LAN Cable) 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UTP 케이블에 대한 오해를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진-3 GIAGA 인터넷 광고)
'네트워크 속도 혹은 인터넷 속도가 빨라 지려면 UTP 케이블도 바뀌어야 한다.' 고 알고 계십니다.
과연 UTP케이블이 인터넷 속도에 영향을 줄까요?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크게 관계되지 않습니다.'
인터넷이 GIGA 속도가 되려면 당연히 랜선도 GIGA 를 지원하는 CAT_6 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생각이 잘못 된 것은 아니지만 '케이블은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라고 말씀 드립니다.
현재 시설되어 있는 CAT_5E 케이블도 기가(Giga)를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1.케이블의 규격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구 분 |
CAT_5 |
CAT_5e |
CAT_6 |
CAT_6e |
전송속도 |
100Mbps |
1,000Mbps |
1,000Mbps |
10Gbps |
대역폭 |
100MHz |
100MHz |
250MHz |
500MHz |
규 격 |
100BASE-TX |
1000BASE-T |
1000BASE-TX |
10GBASE |
※ cat_6e 이상은 생략 하였습니다.
2.케이블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구분 |
UTP |
FTP |
STP |
구조 |
차폐 없음 |
피복 안쪽 차폐 |
FTP+ 내부 개별차폐 |
전송거리 |
100m |
150m |
200m |
전송속도 |
CAT 규격에 따름 |
좌동 |
좌동 |
가격 |
보통 |
고가 |
매우 고가 |
3.케이블의 구조
(사진-4 UTP, FTP,STP 케이블의 단면도와 구조)
1)UTP : 두가닥의 전선이 서로 꼬임으로써 정전용량에 의한 감쇠되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케 함.
2)FTP : UTP의4개의 전선을 알미늄 호일로 감싸 외부 영향을 차폐 시킨 케이블
3)STP : 두가닥의 꼬인 전선을 알미늄 호일로 감싸고 피복 내부를 2중 차폐 하였다.
4. 케이블 규격에 따른 전송거리
UTP의 CAT 규격은 100M 전송거리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가정에서의 케이블 규격은 속도에 영향이 없습니다.
최근 인터넷 회선의 고속화에 따라 1.0Gbps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랜 케이블도 CAT_6 급 이사응로 해야 하지 않겠냐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 가정은 사용거리가 20미터에 이르지 못할 정도로 케이블 길이가 매우 짧으므로 1,000mbps로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고급 규격의 케이블을 사용 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하겠습니다.
5.랜 케이블의 제작
1)MID 와 MID-X
MID란 네트워크중 L2 스위치와 NIC(Network Interface Card => LAN Card)를 연결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케이블의 양단의 송/수신 위치가 같습니다.
MID-X 란 케이블의 양단 중 어느 한쪽만 송/수신이 서로 바뀐것을 말 합니다. 다만 요즘의 장비들이 자동인식을 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 할 실익이 없어졌다고 하겠습니다.
참고로,
56B는 [백.황 - 황 - 백.녹 - 청 - 백.청 - 녹 - 백.갈 - 갈]
56A는 [백.녹 - 녹 - 백.황 - 청 - 백.청 - 황 - 백.갈 - 갈]
(사진-5 랜케이블의 연결, 상:크로스 , 하 : 다이렉트)
6.UTP 케이블의 각 기능및 구성
UTP 케이블은 8가닥이 4조를 이루고 있이지만 실제 사용되는 것은 [백.황 - 황] [백.녹-녹]의 4가닥 뿐이고 나머지 청색과 갈색은 사용치 않습니다.
(사진-6 UTP 케이블의 배치 및 기능)
※실제 네트워크에서 갈색과 청색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7. UTP로 100m 이상의 거리를 연결하는 방법
1)광케이블 사용
최근에는 저가형의 L2 스위치에도 SFP 광 포트를 기본 장착하여 출시 되어 매우 저렴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 해 졌습니다.
2)UTP(STP)케이블을 사용하되 중간에 L2 스위치를 두어 중계하면 됩니다.
즉 UTP의 케이블 사용 제한 거리는 100m이므로 100m에 L2 스위치를 두면 100m가 연장되는 효과를 가져오며 저렴한 비용으로 200m까지 연장 가능 함.
'통신.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otal
- Today
- Yesterday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와이파이 안됨
- 언론사별 만평
- 원룸인터넷
- 와이파이 속도
- 와이파이 확장
- 미투
- 2중공유기
- 홈 랜 구성
- KT 기가 홈허브
- 와이파이채널변경
- 소호 네트워크
- 와이파이최적화
- 시사만평
- 기숙사 인터넷
- 인터넷 연결 장애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홈 네트워크 구성
- 신문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언론사별만평
- 언로사별 만평
- 모니터 연결
- 인터넷 연결 안됨
- 언론사만평
- 2중공유기 연결
- 신문사별만평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신문사만평
- 원룸공유기설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