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가 필요한 이유는 수 억 개의 웹서버 IP를 외우고 다닐 수없기 때문입니다. Naver에 접속하기 위해 202.131.30.11 을 외우고 다닐 수는 없잖아요 또 Google에 접속하기 위해 173.194.126.240을 외우고, Daum에 접속하기 위해 211.233.28.112를 외우고 다녀야 한다면 얼마나 머리 아프겠어요? 그래서 친절한 컴퓨터 전문가들이 도메인이라는 것을 만들어요. www.naver.com 그리고 이 도메인에는 202.131.30.11 이라는 IP로 연결되었다고 지정해 줍니다. 어디에? 통신사의 서버 => DNS 예를 들어 KT 가입자가 www.google.com 이라고 주소창에 입력하면 168.126.63.1과 168.126.63.2 두 개의 DNS 서버는 '도메인을 173..
통신.네트워크
2018. 3. 28. 23:3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인터넷 연결 장애
- 원룸공유기설치
- 2중공유기
- 와이파이최적화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 속도
- 신문사별만평
- 홈 네트워크 구성
- KT 기가 홈허브
- 미투
- 소호 네트워크
- 인터넷 연결 안됨
- 신문사만평
- 언론사만평
- 언론사별만평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언론사별 만평
- 와이파이 안됨
- 2중공유기 연결
- 모니터 연결
- 와이파이채널변경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언로사별 만평
- 원룸인터넷
- 시사만평
- 신문사별 만평
- 홈 랜 구성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기숙사 인터넷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