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터넷이 일상 생활에 깊숙이 자리하면서 모든것을 인터넷으로 연결하게 되었습니다.

컴퓨터는 기본이고 전화기 텔레비젼 그리고 CCTV까지 어느것 하나라도 인터터넷 없이는 불가능 합니다.


그러나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많은 장치를 연결하다보니 그에 수반되는 '통신장치'들도 많아지고 복잡 해 졌습니다.

모뎀과 공유기 그리고 셋탑박스 연결 등등 그리고 그것들을 정리하다보니 케이블이 분리된 후 어디로 연결 해야 할지 ?


Q

공유기를 이전하면서 케이블이 잘못 연결 된 것인지 인터넷이 되지 않습니다.

와이파이는 빵빵하게 터지는데 '인터넷은 연결되지 않음'  이라고 뜹니다.

이유가 뭘까요?

그리고 선을 어떻게 연결 해야 할까요?


라며 다음 사진을 보내 주셨네요.

※물론 장치에 쓰여진 이름은 설명을 위해 수정 한 것입니다.


 


[해설]

위 사진을 보면 2중공유기 연결 입니다.

그러나 통신사 공유기는 시중의 공유기와 달리 네트워크가 달라서 2중공유기의 연결에도 충돌이 나지 않으니 2중공유기의 문제는 아닙니다.



우선 연결이 잘못 되었고, 공유기 2대를 사용 해야 할지 고민을 해보아야 합니다. 위 사에서 공유기B는 기본으로 설치한것이 아닌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 추가 설치한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동일한 사진에 주석을 붙여 보았습니다.


 


ⓐ : 통신사의 인터넷에 연결된 케이블입니다. 

케이블 ⓒ가 벽면의 랜포트에 연결되어 있고 이 끝은 ⓐ와 ⓑ로 갈라지는 이른바 'Y'자형 케이블 입니다.

ⓑ  : 공유기의 LAN포트에 접속하여 다른 방에 연결 해주는 케이블 입니다.

ⓒ  : ⓐ와ⓑ  두개의 랜선이 하나의 UTP로 통합되는 것과 같습니다.

ⓓ :  셋톱박스로 연결되는 케이블

ⓔ : 컴퓨터로 연결되는 케이블

ⓕ :  B공유기로 연결되는 케이블


A

이제 위 사진의 장비를 기본으로 연결 가능한 방법과 연결 방법을 설명 합니다.

연결 가능한 방법은,

1. A,B 공유기 2대를 모두 사용한다.

2. B 공유기만을 사용한다.


1. A,B 공유기 두대를 모두 사용하고자 할 때의 연결 방법 다음 그림을 보면 추가 설명이 필요 없을 것이라 생각 합니다.

여기서 B공유기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와이파이' 때문이었습니다.


 

어떻습니까?

추가 설명이 필요 없죠.

위 연결은 어떤 통신사이든 마찬가지 입니다.


2. B 공유기만 사용

A공유기는 와이파이 기능이 없으므로 A공유기를 제거하고 B공유기만 사용하면 됩니다.




 ⓑ, ⓓ, ⓔ, ⓕ 는 공유기의 LAN에 연결하는 우선 순서가 없으며 공유기의 LAN1~4중에 하나에 연결 하면 됩니다.


ⓐ-ⓑ -ⓒ 의 케이블을 'Y' 자형이라하며 다음과 같은 원리 입니다.



이해가 어려운 분은 ' Y '자형 케이블의 연결로 인터넷 증설에 대한 설명을 참고 하세요.

또는 UTP1가닥으로 LAN선 2개 만들기를 참고 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