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어컨 빵빵하게 틀어도 전기 요금은 적게 낸다"라는 기사를 많이 봅니다.
그러나 이런 일은 없습니다.
단 약간의 절약은 있을 수 있습니다.
다 아시는 얘기지만 하겠습니다.
에어컨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가스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가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배관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게 되는데 제조사는 실내(외) 기는 분리되어 출고됩니다. 결국 에어컨은 반제품으로 출고되고 설치기사의 조립으로 완제품이 되는 것입니다.
1
. 에어컨은 설치 조건에 따라 냉방 효율이 달라집니다.
서두에 말 한대로 에어컨은 열을 교한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실외기가 효과적으로 열을 배출 시키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축물 사이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여 뜨거운 공기가 잘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나 옥상 등에 설치하여 직사광선을 받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효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뜨거운 공기가 쉽게 배출되도록 해주고 실외기에 옥상의 뜨거운 열과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게 해주면 좋습니다. 또 가능하면 실외기에 그늘을 만들어 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특히 옥상에 실외기를 설치할 때에는 바닥면과 충분히 이격 시켜 주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벽돌이나 버팀목으로 바닥과 이격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파트는 선택의 여지가 없죠.
2. 유리창으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열을 차단하세요.
운전 중 이런 경험 있으셨죠? 에어컨 사용 중이지만 가로수나 육교 아래에서 정차 또는 신호 대기 중에는 훨씬 더 시원 함을 느낀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 원리는 가정용 에어컨도 같습니다.
에어컨을 사용 시 커튼이나 블라인드로 태양의 복사열을 차단하면 효과적입니다. 유리창이 넓으니까 시야가 넓고 좋긴 하지만 태양광선에 의한 복사열을 피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래서 뜨거운 한낮에 에어컨을 가동할 때에는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게 해 주는 것도 효율 적입니다.
3. 설정 온도를 27도로 높이세요
에어컨의 기본 설정 온도는 26라고 합니다. 그러나 실제 집에서 독서를 하거나 티브이 시청을 할 때에는 27도가 되어도 충분하다고 합니다. 저의 경험으로도 27.5도로 높여도 덥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단 아주 시원하다는 느낌은 들지 않습니다. 그러나 집에 있으면서 덥지만 않으면 되지 않을까요?
처음 에어컨을 켜서 실내 온도가 낮아졌으면 27도로 높여 보세요. 1도의 차이는 엄청 큽니다.
4. 실내 발열 장치를 꺼 두세요.
에어컨은 열을 냉으로 교환하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실내에 열을 발생하는 장치가 있으면 당연하지만 효과는 낮아지고 전력 소비는 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전기밥솥의 보온을 꺼 두세요. 전기도 아끼고 발열도 줄이게 되어 냉방 효율을 높입니다. 또 전등도 만만치 않게 열이 발생합니다. 전등도 꺼 두세요.
5. 인버터 에어컨은 자주 껐다 켰다 하는 것보다 27도로 지속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 적입니다.
구체적으로 에어컨을 기동하면 미친 듯이 돌아가고 실내 온도를 낮춥니다. 그리고 적정 온도가 유지되면 실외기의 회전수를 낮게 유지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그래서 27도로 높이면 에어컨은 큰 부담 없이 계속 운전하지만 전기 소모는 크게 줄게 됩니다.
그러나 간헐동작을 하게 되면 높아진 온도를 낮출 때마다(온도차가 클 때마다) 전력소비가 크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이것이 인버터 에어컨의 원리입니다.
물론 몇 시간씩 외출하면 당연히 꺼두어야겠지만 말이죠.
6. 청결히 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해준다.
실외기는 뜨거운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입니다. 그래서 실외기의 방열판 사이에 이물질이 끼워져 있거나 막혀 있으면 효율은 급격히 나빠집니다. 또 실내기의 필터도 자주 청소해야 합니다.
에어컨은 공기가 잘 흐르게 해 주어야 합니다.
또 가능하다면 실외기 방열핀에 물을 분무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과연 1도를 높이면 전기 소비가 크게 줄까?
궁금하면 다음 링크를 꾹 눌러 주세요.
'광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켜고 여름을 시원하게, 에어컨 전기 요금, 전기 세에 대한 QnA (0) | 2018.07.24 |
---|---|
에어컨 1도를 높여 절전 효과, 절전과 건강한 가계 위한 1도 높이기 (0) | 2018.07.22 |
에어컨 에너지 효율 등급, 효율과 전력 소비에 대한 QnA (0) | 2018.07.22 |
인버터 에어컨 소비전력, 2 in 1 에어컨, 투인원 에어컨 소비 전력 QnA (0) | 2018.07.22 |
휴대용 선풍기, 손 선풍기, 핸드 선풍기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한 정리 (0) | 2018.07.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언로사별 만평
- 와이파이최적화
- 모니터 연결
- KT 기가 홈허브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홈 네트워크 구성
- 신문사별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와이파이 안됨
- 시사만평
- 언론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원룸공유기설치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2중공유기
- 언론사별만평
- 홈 랜 구성
- 와이파이채널변경
- 기숙사 인터넷
- 신문사별 만평
- 2중공유기 연결
- 미투
- 원룸인터넷
- 소호 네트워크
- 인터넷 연결 장애
- 와이파이 확장
- 신문사만평
- 와이파이 속도
- 언론사만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