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는 흔히 랜선이라고 말 합니다.
또 인터넷 선이라고도 하지요
당연하지만 랜(LAN Local Area Network)에 접속시키는 전선입니다.
<사진-1 시중에 판매하는 랜선으로 길이를 특정한 길이로 되어 있어 다소 불편합니다>
랜(LAN)은 인터넷에 접속 시키는 전선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인터넷선과 랜선은 동의어가 아닙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누구나 쉽게 랜선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1.준비물
1)UTP CABLE 필요한 길이 만큼
2)케이블 탈피기
3)가위
4)압착기
5)자
6)RJ-45 모듈라 잭
7)랜 테스터
2.만드는 방법
먼저 UTP 케이블의 피복을 벗깁니다. 피복을 벗기면서 칼이나 가위로 하다가 내부의 전선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되도록 탈피기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진-2 케이블 탈피기...사용법은 다음 사진을 보시면 됩니다>
케이블을 탈피기에 끼우면 한 바퀴 회전 시키면 됩니다.
<사진-3 탈피기로 케이블 피복 잘라내기..너무 길게 자르지 말고 20mm 정도면 충분합니다>
<사진-4 탈피기를 한 바퀴 회전하면 피복만 잘라 집니다.>
<사진-5 절단된 피복을 벗겨내면 가느다란 전선이 노출됩니다. 전선은 총 4조 8가닥 입니다>
전선의 색은 청색,오랜지색,녹색,갈색 이고 여기에 백색띠 선이 공통으로 더해져 8가닥이 됩니다.
각 전선은 번호가 있는데 1)청색, 2)오랜지색, 3)녹색, 4)갈색 입니다.
<사진-6 랜선으르 만들기 위해 전선을 순서대로 펼쳤습니다.>
케이블의 순서는 청-오랜지-녹-갈 이지만 랜선을 만들 떄에는 오랜지색-녹색-청색-갈색 순으로 바뀝니다.
<사진-7 4조 8가닥의 전선을 순서대로 펼쳤습니다.>
순서는,
[백색.오랜지색] - [오랜지색 - [백색.녹색]- [청색]-[백색.청색]-[녹색]-[백색.갈색]-[갈색] 순입니다.
이것을 반듯히 펴서 RJ-45 잭이 삽입해야 하는데 먼저 규격에 맞는 길이로 잘아야 합니다.
길이는 반듯히 펴진 부분이 15mm 입니다. 약간 더 길어도 관계는 없지만 구조적으로 약해지고 펴진 부분이 길어지면 통신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진-8 펴진 부분을 15mm 정도만 남기도 자릅니다.>
위에서 설명 했지만 펴진 부분이 너무 길면 작업은 쉽지만 통신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사진-9 펴진 부분을 확대경으로 보여 드립니다. 절대로 순서가 틀리면 안됩니다>
<사진-10 15mm 가량 남기고 자른 후 RJ-45잭에 삽입하기전 한번 더 순서를 확입합니다>
참고로 RJ-45모듈라잭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단자가보이는 부분이 앞, 래치가 있는 부분이 뒤 입니다.
케이블의 삽입은 앞부분을 기분으로 합니다.
<사진-11 RJ-45모듈라 잭 사진 위-앞, 아래-뒷면>
<사진-12 순서가 변경되지 않고 케이블이 피복 안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한쪽손으로 단단히 잡고 RJ-45모듈라 잭에 밀어 넣습니다>
<사진-13 밀어 넣은 후 선의 순서가 변경되지 않았나 확인 합니다....oK>
<사진-14 압착 툴에 넣고 압착 시킵니다. 압착툴을 꽉 잡아 당기면 압착이 됩니다.>
<사진-15 압착툴에는 래치가 있어 한번 압착을 가하면 압착이 끝나기 전에는 해제가 되지 않습니다>
압착이 끝나고 툴에서 해제 시키면 끝입니다.
<사진-16 압착이 끝났습니다. 한쪽만 더 만들면 끝입니다>
이제 테스트를 합니다.
<사진-17 랜테스트를 합니다.>
좌측이 Master 우측이 Slave입니다. 우측에서 신호를 보내면 우측은 그 신호의 정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좌측은 연결 혹은 단선 여부만 가능하고 우측은 선이 서로 바뀌었거나 순서가 바뀐 경우도 알 수있습니다.
정상일 경우 마스터와 슬리브는 모두 녹색 램프가 1-2-3-4-1-2-3-4 순으로 점등되고 선이 바뀌거나 했을 경우 슬리브에서 색상이 적색 혹은 케이블의 순서가 바뀌어 점등 됩니다.
참고로 다음의 사진은 압착 작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첨부 했습니다.
<사진-18 압착전...8개의 단자가 위로 돌출되어 있습니다.>
<사진-19 압착 후 단자가 내려갔습니다. 상세히 보시면 단자가 내려 앉으면서 케이블과 결합된 모습을 알 수있습니다.
지금까지 랜선 만들기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부족하지만 많은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만든 케이블은 ?다이렉트케이블"입니다.
다이렉트케이블은 장비(공유기. 스위치)에서 단말(컴퓨터)로 연결 할 떄 사용하는 케이블이고 장비와 장비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크로스케이블"이라고 하는데 요즘의 장비들은 이 두 가지 케이블을 잗오감지하여 접속시켜주기 때문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이렉트케이블'로 합니다.
'통신.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쉽게 [통신단자함,세대별통신단자함,통신단자,전화선연결,전화선이전]이해하기 (4) | 2017.02.17 |
---|---|
누구나 쉽게 [통신단자함,세대별통신단자함,통신단자]이해하기 (0) | 2017.02.15 |
[광케이블콘넥타,광콘넥타,ST,SC,LC]광콘넥타에 대한 이해 (0) | 2017.02.10 |
1개의 랜선으로 2회선사용[랜선부족,랜선추가설치,랜선확장]을 쉽게 해결 한다. (0) | 2017.02.07 |
[랜카드확인,랜카드확인명령어,인터넷이안될때,인터넷고장,인터넷장애]ping 테스트 (0) | 2017.02.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기숙사 인터넷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 속도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원룸인터넷
- 와이파이최적화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모니터 연결
- 시사만평
- KT 기가 홈허브
- 신문사별만평
- 신문사만평
- 언로사별 만평
- 언론사만평
- 와이파이 안됨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2중공유기 연결
- 언론사별만평
- 2중공유기
- 인터넷 연결 장애
- 인터넷 연결 안됨
- 원룸공유기설치
- 와이파이채널변경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언론사별 만평
- 미투
- 홈 랜 구성
- 신문사별 만평
- 홈 네트워크 구성
- 소호 네트워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