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선 네트워크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가급 전송 속도를 넘보고 있습니다. 물론 이는 이론상이고 실제 전송 속도는 절대..... 네버, 유선을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만약 무선이 그토록 빠르다면 통신사가 미치지 않고야 땅 파고광케이블을 묻고 태평양 바닷속에 광케이블을 설치하겠습니까?
절대...... 네버,
'무선은 유선을 넘보지 못한다.'


[답변]
되도록이면 유선으로 연결하세요.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1) 거실에 설치된 공유기의  LAN 포트를 댁내 통신 단자함에 연결합니다.
2) 통신 단자함에서 본인의 방으로 연결합니다.
※ 위 과정이 어려운 기술을 아니지만 이해를 못하면 어렵습니다. 그래서 통신사에 '컴퓨터 추가 연결 서비스'를 신청하면 인터넷 기사가 출장나와 연결해주고 출장비는 다음 달에 청구 됩니다.
또 노트북을 연결했을 때와 데스크탑을 무선 브리지로 연결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입니다.
노트북을 와이파이로 연결하는 것과 증폭기를 사용한 무선 브리지 방식으로 데스크탑을 연결한 것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노트북의 와이파이 연결
[무선 공유기. 와이파이] -- [노트북]
2) 무선 브리지 방식의 데스크탑 연결
[무선 공유기. 와이파이]--[증폭기. 유선 랜] ==[컴퓨터 연결]
※ == :유선, -- 무선
어찌 보면 동일한 연결 같지만 증폭기의 동작은 다소 다릅니다.
내부적으로 무선-유선으로 변환하는 것 이외에 멀티 브리지 연결에서는 메인 공유기의 와이파이 신호가 한번 더 지연되는 구조를 갖습니다. 그래서 노트북으로 와이파이를 했던 것보다 느려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데스크탑에 괜찮은 무선랜카드를 설치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다음은 나무위키에서 발췌 캡처한 것입니다.

끝으로 무선(와이파이)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무선의 속도란 전송 속도가 아닌 연결 속도에 불과합니다.
무선(와이파이)는 하나의 채널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 합니다.
최근 MIMO라는 기술이 나왔다고 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것은, 와이파이는 송신/수신 채널이 따로 존재하지 않다는 것이며 와이파이는 송신하는 동안 수신이 대기하고 수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송신이 대기해야 합니다.
그래서 증폭기(사실 증폭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를 사용하면,
[메인 와이파이]--<와이파이 수신. 증폭기 와이파이 송신>--[컴퓨터 무선 수신]
그래서 와이파이를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 [수신/송신]이 한번 더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지연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끝으로,
와이파이를 잘 사용하려면 다음 세 가지를 꼭 해야 합니다.
ⓐ 공유기는 되도록 댁내 중앙에 설치합니다.
ⓑ 공유기는 되도록 높게 설치합니다. 바닥보다는 책상 위가 좋고 책장 위는 더 좋습니다.

ⓒ 와이파이 채널을 조정합니다. 이웃의 와이파이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도록 채널을 변경합니다.


[와이파이 최적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