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핑 테스트(ping Test)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정상 접속되어 있는지 그리고 정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지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툴입니다.
사용 방법은,
ping 목적지 IP /옵션
예 1) ping 168.126.63.1 엔터
※ 내 컴퓨터의 데이터가 kornet까지 나가는지 획인

예 2) ping 168.126.63.1 /t 엔터

※ 내 컴퓨터의 데이터가 kornet까지 가는 것을 확인하고 연속적인 지연시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답변]
핑 테스트로 인터넷의 속도나 지연을 측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지연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정도에 그칩니다.
또 공유기로 핑 테스트를 하려면?
예) ping 기본 게이트웨이 엔터
※ ping 192.168.10.1
※첨부된 사진에서 백색 선의 IP 192.168.10.52는 컴퓨터이고 192.168.10.1은 공유기의 기본 게이트웨이=내 부 네트워크입니다.

참고로 ping 테스트 만으로는 단순히 지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뿐이고 어디서 지연되고 있는지는 'tracert'로 합니다.
방법은, tracert IP 엔터입니다
예) KT kornet까지 데이터를 보내면서 어디서 지연되는지 알보려면, tracert 168.126.63.1 엔터

위 결과 8번 항목에서 크게 지연되었는데요... 8번 항목은 서울 혜화 집중국쯤 됩니다.
아마도 낮 시간이라 트래픽이 많겠죠.
분석하자면,
[내 컴퓨터]
1.[공유기 2]
2.[공유기 1]
3.[공유기 1에 할당된 공인 IP]
4.[KT_DHCP]
5.[가까운 KT 집중국]
6.[광역 집중국]
7.[서울]
8.[kornet DNS] 의 순서로 신호를 보내면서 지연되는 곳을 찾아 보는 것입니다.

이상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