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통신사에 따라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연결 방식이 다르다는 말은 여러 차례 말씀드렸습니다.
SK와 LG는 공유기에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을 연결하고 KT는 텔레비전용 IP가 따로 있어서 인터넷+텔레비전 IP가 두 개 이상 사용됩니다.
최근 Giga 홈-허브를 채용한 가입에게는 최대 4개의 IP가 제공되기도 합니다
[답변]
사진의 장치는 KT의 광기가 홈 허브입니다.
즉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댁내 기가 인터넷을 연결해주는 장치로 4개의 LAN 포트가 있습니다.
이 4개의 LAN 포트는 텔레비전 셋탑박스, 컴퓨터, 공유기 등을 연결할 수 있는데 각각 공인 IP가 출력됩니다.
그러나 통신사는 컴퓨터 2대를 허용하기 때문에 텔레비전을 제외한 공인 IP는 2개가 기본입니다.
공유기의 연결 방법은 특별히 어렵지 않고 홈-허브의 빈 포트에 연결하면 됩니다.
'통신.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G-501 공유기 연결 방법에 대하여 (0) | 2018.05.31 |
---|---|
1개의 랜포트에 컴퓨터 추가 연결 가능할까? (2) | 2018.05.30 |
옥상의 이동통신 중계기 전자파는 얼마나 위험한가? (0) | 2018.05.27 |
엘지(LG) 유플러스 공유기 연결 방법 (0) | 2018.05.27 |
다른 방으로 인터넷 이전할 수 있을까요? (0) | 2018.05.27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신문사별만평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 속도
- KT 기가 홈허브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미투
- 인터넷 연결 장애
- 홈 랜 구성
- 와이파이 안됨
- 소호 네트워크
- 신문사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2중공유기 연결
- 원룸공유기설치
- 언론사만평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기숙사 인터넷
- 언론사별 만평
- 2중공유기
- 와이파이최적화
- 언로사별 만평
- 시사만평
- 홈 네트워크 구성
- 원룸인터넷
- 와이파이채널변경
- 언론사별만평
- 모니터 연결
- 신문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장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