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학 기숙사 인터넷 연결, 기숙사 인터넷 연결, 고정 IP 방식의 인터넷 연결, 네트워크 환경 설정 IP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DNS]의 설정 방법의 QnA
부지런히 살자 2018. 1. 8. 11:12[개요]
대학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의 질문입니다.
노트북을 새로 구입했고 이 노트북을 벽면의 통신 단자와 연결했지만 인터넷이 안되고 있다는 질문입니다.
A
[ 네트워크 환경 ] → [ 이더넷 ] → [ 로컬 영역 연결 ] → [ 랜카드 선택. 우측 버튼. 속성 ] → TCP/IP/V4 선택 → 다음 IP 주소 사용 선택 → IP 및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값을 입력 → 확인을 눌러 저장해야 합니다.
[해설]
인터넷은 IP라는 주소로 접속됩니다.
그래서 지구상의 무수히 많은 컴퓨터는 도두 다른 IP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통신사의 장치에서 자동(랜덤)으로 제공하는 IP를 사용하게 되는 반면 학교, 기업, 공공기관은 자체 전산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보안등의 목적을 위해 수동으로 IP 값을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기관의 전산 담당이 알려준 IP/서브넷 마스크/기본 게이트웨이/DNS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 저장하면 됩니다.
이 같은 방법은 기숙사 등에서 공유기를 사용할 경우에도 같습니다. 즉 공유기의 인터넷 연결 설정에서 설정해 주지 않으면 공유기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윈도 10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1. 창문 버튼(시작 버튼)
2. 설정(기어 모양)
3. 윈도 설정 페이지
4.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선택
5. 이더넷 선택
6.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선택
7. 어댑터 설정 변경
8. 이더넷 선택
9. 우측 버튼 → 속성
10. TCP/IP/V4 선택
11. 전산담당자가 준 네트워크 값 입력
12. 확인(저장)
13. 모든 창 닫습니다.
'통신.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부 네트워크, 사설 IP, 외부 네트워크, 공인 IP]에 대한 이해 (0) | 2018.01.09 |
---|---|
[와이파이 속도 느려짐, 기가 와이파이 속도 느려짐, 5GHz 와이파이 속도 느려짐]에 대한 QnA (0) | 2018.01.08 |
[방에서 2대의 컴퓨터 사용, 컴퓨터 추가연결, 컴퓨터 증설, 벽면 랜포트 연결, 벽면 랜포트 활성화] 방법에 대한 QnA (0) | 2018.01.07 |
[컴퓨터를 켜면 와이파이가 안되요, 와이파이켜면 스마트폰이 안됨, 와이파이 장애, 와이파이 연결 안됨]에 대한 QnA (1) | 2018.01.05 |
[ 공유기가 안돼요, 공유기 안됨, 와이파이 안됨, 와이파이는 연결되는데 인터넷 안됨] 연결 오류에 대한 QnA (0) | 2018.01.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원룸공유기설치
- 홈 네트워크 구성
- 미투
- 와이파이 안됨
- 와이파이 속도
- 시사만평
- 와이파이최적화
- 언론사별 만평
- KT 기가 홈허브
- 2중공유기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기숙사 인터넷
- 언론사만평
- 와이파이채널변경
- 홈 랜 구성
- 와이파이 확장
- 2중공유기 연결
- 신문사별 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신문사별만평
- 모니터 연결
- 신문사만평
- 언론사별만평
- 언로사별 만평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원룸인터넷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인터넷 연결 장애
- 소호 네트워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