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단종의 이름은 왜 두 자(字)로 되어 있을까?"
"임금의 이름은 왜 한자로 정했을까?"
"왕자의 이름은 존귀한 의미의 글자가 아닌 미사용 글자로 정했다"
임금의 이름은 흔히 사용되는 글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임금은 너무나 존귀한 존재이므로 감히 부를 수 없다.
그래서 세자, 전하 등과 같은 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하였다.
그럼 임금의 이름은 어떻게 지었을까?
조선을 통틀어 2자(字)의 이름을 가진 임금은 몇 안 된다.
먼저 태조 이성계는 첨부터 임금이 아니었으니 당연히 "성계'라는 이름을 가졌다.
또 그의 아들들 정종(방과) 과 태종(방원) 도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에 낳은 아들들이니 당연하지만 일반 인처럼 이름을 지었을 것이다.
그러나 세종부터 달라진다.
태종은 아들의 이름을 지음에 있어 흔히 사용되지 않는 글자를 사용했고 이것이 세종의 이름(도:祹:복)이다.
일반적으로 복을 말할 때 福을 사용하지만 祹을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것을 기준으로 왕자의 이름을 지었던 것이다.
왜?
이 글자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면 임금이 이름이 함부로 불리게 된다는 것이니까.
다시 말해 존엄한 임금의 이름을 의미하는 글자를 일반인이 사용해서는 안 되니 임금의 이름은 獄에 갇히는 것이었다.
그래서 임금이 될 것으로 예정된 왕자는 물론 다른 왕자들도 모두 외자의 이름을 가졌다. 왕세자가 일찍 죽으면 다른 왕자가 왕위에 올라야 하니까.
이름을 두 자로 하면 옥에 가두어야 할 글자가 두 개가 되니 백석에게는 불편을 줄 수밖에 없다고 여겼을 것이다.
그런데,
유일하게 단종만이 弘暐라는 이름을 붙인 것을 보면 석연치 않다.
혹시 후대에 이름이 추가된 것은 아닐까?
※ 이 생각은 순수히 내 생각으로 그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발휘 해 본것이다.
원래 이름은 暐(위)였는데 흔하디흔한 '弘'를 붙여 일반인 이름처럼 만드는 고도의 정치적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어찌 되었건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란 늘 승자의 몫이니 단종에 대한 기록은 당연히 한명회와 그의 추종자에 의해 기술되지 않았겠는가?
그래서 한 번 더 중얼거려 보지만 단종의 이름(홍위)은 분명 석연치 않다.
1. 너무 흔한 글자이다
弘 자는 아주 일반적인 글자이니 이 글자로 세자의 이름을 지었을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단종은 조선의 최초의 "적통 왕세손"이었다.
다시 말해 세종의 사랑을 듬뿍 받았던 단종에게 전례를 무시하고 그렇게 흔한 이름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라고 믿어지지 않는다.
2. 단종을 정치적으로 왕족의 수준에 머무르지 않게 하려는 승리자의 명분이었을 것이며 본래 이름은 暐(햇볕 위)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즉 한명회 등이 단종의 이름에 弘 자를 붙여 일반인의 이름과 같이 폄하 시키려는 정치적인 의도가 있지 않았을까라고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어찌 되었건,
여기서 문자옥을 말하고자 함이지 임금의 이름을 어떻게 붙였는지가 중요 한 문제가 아니지 않은가?
"문자옥(文字獄)?" 이라고 검색하면 대체로 명나라의 왕조 이야기가 나온다.
[다음은 위키 백과사전의 일부이다.]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는 문서를 작성하는데 한자를 사용하였고, 표의 문자인 한자로 구성된 한문에서 동음이의자 등을 써서 은밀한 뜻을 드러내는 문장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했다. 예로부터 이러한 한자의 특성을 살려, 실제 예언이나 체제 비판에 널리 사용되었다. 때문에 위정자에게 있어 불온분자를 적발하는 것에는 우선적으로 그가 쓴 문서를 거두어들여서 그가 자신의 글 속에 무슨 뜻을 숨겨두었는지 찾는 것이 가장 먼저 수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필자가 의도하지 않는 뜻으로 임의로 짜맞춘 엉터리 증거들이었고, 이에 대한 우려와 비판을 담은 말이 문자의 옥이다.
문자의 옥의 실제 사례
문자의 옥이 중국 역사에서 가장 현저했던 사례는 명(明) 왕조에 들어서부터였다. 1368년에 명 왕조가 수립된 뒤, 홍무제(洪武帝)는 개국공신을 숙청하기 시작하였다. 스스로가 비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는 열등감에 사로잡혀 살았던 홍무제는 문인들에게 시기심을 품고 있었다. 때문에 많은 관료가 문서에 「황제를 비방하고 있다」며 처벌을 명했다. 「하늘에 길이 있다」(天道)라는 말에서 「도」(道)를 「도」(盜)와 같은 발음으로 읽어 황제를 「도둑놈」이라고 비방한 것이라고 몰아세우는가 하면, 「빛나는 하늘 아래 하늘이 성인을 내시어 세상을 위해 도리를 만드셨도다」(光天之下, 天生聖人, 爲世作則)라는 구절을 지어 황제를 칭송한 문인은 「빛」(光)이란 「승려」를 말하며 황제 자신이 한때 승려 생활을 했던 것을 조롱하는 것으로 몰아 죽였다. 「칙」(則)도 「적」(賊)과 같은 발음이라고 해서 황제를 「도적」으로 비방한 것으로 몰았다. 중국에서 춘절(春節)에 집집마다 뒤집힌 복(福)자를 문배로 써 붙이게 된 것도 홍무제 때의 문자의 옥의 사례로 꼽힌다.
이민족으로써 한족의 중국을 차지한 청 왕조는 특히 반청적 경향이 흐르고 있던 강남 향신층의 비판적 동향에 과민하였다. 청 왕조는 사소한 이유로 필화 사건을 일으켜 억압하였다. 그 시발은 강희 2년(1663년)의 장정롱 사건이었다. 옹정제 때인 옹정 6년(1728년) 강소 성에서 열린 향시에 감독관을 맡았던 한족 관료 사사정(査嗣庭)이 《시경》(詩経)의 「백성이 머물러 사는 곳」(維民所止)이라는 구절이 과거 시험 문제로 출제된 적이 있었는데, 이를 당시의 연호인 「옹정」 두 글자에서 「亠」과 「一」을 떼어내고서 「민소」(民所)라는 글자로 갈라놓았다는 것으로 곧 옹정제를 저주하는 글이라 하여, 관계자가 처벌된 사건도 있었다.
이밖에 옹정제 시대에는 청조를 이적이라 비판한 여유량 · 증정의 사건이 있고, 옹정제는 《대의각미록》(大義覺迷錄)을 저작하여 청조 지배의 정통성을 주장하였다.
건륭제 시대에 들어서면 탄압은 더욱더 가혹해져 《사고전서》(四庫全書)의 수집도, 그 목적의 일단은 내용의 검열에 있었다고 하며, 기휘(忌諱)에 저촉되어 금서로 전부 훼손된 것도 수천 부에 달하고, 일부분을 뽑아내어 태워진 것은 헤아릴 수가 없었다.
며칠 전 뉴스를 보니 대통령의 이름은 어린아이들까지 친근하게 되었나 보다. 유치원을 찾은 전원책 변호사에게 문재인 대통령과 친해요? 또는 문재인 대통령 전번 아세요?라는 질문이 이어졌다는 것인데 아이들은 전원책 변호사가 문재인 대통령과 학교 동문이란 사실을 알고 친구니까 친하냐고 전화번호 알면 알려 달라는 부탁을 한 것이라고 하니.... 동심은 재미있다.
과거 임금의 이름은 그 누구도 입 밖으로 내뱉어서는 안되는 말이었지만 이제 세상은 바뀌었다.
유명 해지느냐 마느냐의 조건은 '그 사람의 이름이 많이 불리고 알려져 있느냐에 달려 있으니 이름이란 '쉽고 외우기 쉬우며 이쁘게' 지어야 할 것이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할지라도 이름만큼은 남이 쉽게 불러 주어야 한다.
※ 천상이란 신들의 세계이고 천하란 인간의 세상이니 신과 인간의 세계를 아울러 가장 존귀한 존재는 바로 나다.
이름이란?
내 것이지만 남이 불러주는 것,
그래서 남 편하게 하려면 쉬운 이름으로 붙여야 한다.
'내 생각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 부양의무, 자식의 의무 가치관 변화 (0) | 2018.12.15 |
---|---|
어린이의 사랑, 아이에게도 사랑의 감정이 있다. (0) | 2018.12.14 |
미세먼지와 고등어, 때놈에게 맞고 곧어에 화풀이했던 시절 이야기. (0) | 2018.11.07 |
관심받고 싶어 하는 본질, 관심증과 SNS (0) | 2018.11.06 |
연탄값이 얼마죠? 연탄은 고맙고 연탄재는 귀찮죠? (0) | 2018.11.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소호 네트워크
- KT 기가 홈허브
- 2중공유기
- 시사만평
- 와이파이 연결 장애
- 기숙사 인터넷
- 원룸인터넷
- 원룸공유기설치
- 방마다 인터넷 연결
- 와이파이최적화
- 와이파이 속도
- 신문사별만평
- 신문사만평
- 인터넷 연결 안됨
- 언론사만평
- 내부 네트워크 변경
- 홈 네트워크 구성
- 신문사별 만평
- 언로사별 만평
- 모니터 연결
- 인터넷 연결 장애
- 와이파이 연결 안됨
- 2중공유기 연결
- 홈 랜 구성
- 미투
- 와이파이채널변경
- 언론사별만평
- 와이파이 확장
- 와이파이 안됨
- 언론사별 만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